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화촉진요인에 관한 계량언어학적 접근 - ‘발화연속지수’ 및 ‘맞장구적 발화 비율’을 중심으로- (A mathematical linguistic approach to analyze the factors stimulating good conversations: Focus on the index of continuing speeches and the ratio of backchannel speech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6.11
22P 미리보기
대화촉진요인에 관한 계량언어학적 접근 - ‘발화연속지수’ 및 ‘맞장구적 발화 비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99권 / 1호 / 123 ~ 144페이지
    · 저자명 : 손영석

    초록

    話し手がどのような言語行動を行い、聞き手がそれにどのような反応を示 すときに、対話がより一層はずむかを調べるため、対話開始時点と終了時点 とを比べて話がはずんだと判断されたグループ(Aグループ)とあまりはずまなかったと判断されたグループ(Jグループ)における、それぞれの発話を計 量的観点から比較した。主として「誰がどんな順番で対話に参加したのか」と「誰がどんな種類の発話を使用したのか」の二つの観点から分析を行った 結果、Jグループでは話題によってあいづち的な発話のみを駆使し対話に受動 的に参加するものとそうでないものとがはっきり分かれる傾向があったのに 対し、Aグループではどの話題においても参加者の間でこのような極端な差は 見られないなど、とくに「発話の種類」においてグループ間の違いが観察さ れた。このことから、本稿では各話題における対話参加状況が対話の促進に 影響を及ぼしている可能性を提示するとともに、今後より多様な観点からの 要因の究明が欠かせないということを論じている。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actors that stimulate vibrant conversation and puts forth questions on what kinds of language behaviors speakers use and in what ways listeners respond in stimulating continuous conversation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takes a mathematical linguistic approach and compares two groups of participants, “A” group, whose conversations flow smoothly, and “J” group, which lacks continuity in conversat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parture and ending points of conversations. The analytical focus is on who initiated the conversation, the persons who followed the conversation, and who spoke what in the convers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within the J Group,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s were of two types, speakers who were passive participants uttering only backchannel speech depending upon the conversation topics and active ones leading the conversations. In contrast, within the A Group,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s in terms of speech type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different situations in which participants join in conversations are likely to affect the possibility of making good and continuing conversations. Further study should clarify stimulating factors for good, continuous conversations from diverse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