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통체 담론의 공통화를 위한 제언과 시론 - 'Commons' 의 번역과 의미망에 대해 (Towards the Commonization of Commons Discourse: On the Translation and Semantic Network of Common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10
34P 미리보기
공통체 담론의 공통화를 위한 제언과 시론 - 'Commons' 의 번역과 의미망에 대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16권 / 2호 / 41 ~ 74페이지
    · 저자명 : 윤영광

    초록

    본 논문은 공통체(commons) 연구 및 실천의 안정적 기반 확보라는 관점에서 점점더 논의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세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룬다. 첫째, ‘commons’의 번역, 둘째, 개념의 수직적 의미 확장과 분화, 셋째, 공통체와 공공성의 관계가 그것이다. 이 문제들은 일견 별개로 보이나, 20년 넘게 한국 학술장이 만족스럽게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공통체 개념의 의미망 혹은 의미관계를 명확히 하는 과제에서 하나로 수렴한다. 각 문제와 관련한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1) ‘commons’ 의 번역어로 ‘공통체’(共通體)를 제안하고, 이를 중심으로 관련 개념들을 일관되게 번역할 것을 주장한다. 개념의 다층적 의미와 맥락을 포괄하고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핵심 요건에의 적합성과 더불어 역어 ‘공통체’가 갖는 강점들이 다각도로 논의될 것이다. 2) ‘공통체’라는 번역에 기초해, ‘commons’ 개념의 수직적 의미 확장과 분화의 관점에서 원리, 운동과 정치, 제도, 관계와 주체, 사물과 자원 등 상이한 층위의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생산양식과 제헌권력으로서의 공통체라는 새로운 규정을 시론적으로 제시한다. 3) 공통체와 공공성의 관계를 공(共)-공(公)의 관계의 양면성에 초점을 맞춰 검토하는 가운데 공통체를 통한 공공성의 재구성이라는아이디어의 내적 긴장을 진단하고, 공통체의 제헌권력이라는 관점에서 양자의 관계를 재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ree interconnected issues that have become increasingly salient in the effort to establish a robust foundation for commons research and praxis. These issues, while seemingly discrete, converge on the challenge of elucidating the semantic network of the commons concept a task that has eluded satisfactory resolution in Korean academic discourse for over two decades. First, we grapple with the translation of ‘commons’ into Korean, proposing ‘공통체(共通體)’(gongtongche, literally ‘common body’) as a term that encapsulates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concept. We argue that this translation not only accommodates the concept’s layered meanings and contextual nuances but also provides a consistent lexical foundation for related terms. Second, we explore the vertical expans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commons concept.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we examine its manifestations across various levels: as a principle, a political movement, an institution, a network of relationships and subjects, and as objects and resources. We also advance a preliminary reconceptualization of commons as both a mode of production and a form of constituent power. Third, we interro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ons and publicness, focusing on the duality inherent in the Korean terms ‘공’(gong) as both ‘common’(共) and ‘public’(公). This examination reveals the internal tensions in attempts to reconstruct publicness through commons. We propose a reinterpretation of this relationship through the lens of commons as constituent power. By synthesizing these three strands of inquiry,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and coherent understanding of commons discourse, bridging linguistic, conceptual, and theoretical divides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