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정적인 현실에 대항하는 사회적 소통의 관계망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Network of Social Communication Resisting the Negative Reality : Focused on ‘Dogani(The Crucible)’ written by Gong Ji-yeo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1.06
23P 미리보기
부정적인 현실에 대항하는 사회적 소통의 관계망 ―공지영의 &lt;도가니&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5호 / 255 ~ 277페이지
    · 저자명 : 유경수

    초록

    이 작품을 읽는 동안 우리는 일단 작품에 재현된 부조리한 현실에 대해서 분노하게 된다. 그 분노는 부정을 저지르고도 태연한 기득권층에 대한 비판을 끌어내고 비기득권층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의 생각이 같음을 확인하고 소통의 길을 연다. 세상을 바꾸는 것도 어렵겠지만 세상이 자신을 바꾸지 못하게 하는 것이 더 힘들다. 청각장애아들과 강인호, 서유진은 세상을 바꾸려는 시도를 하지만 거대한 벽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외침이 공허함에 그치는 것은 아니었다.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청각장애인들이 주체적으로 생각하게 만들었고, 세상 사람들이 자애학원의 진실에 대해서 알게 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 이제 이들은 세상이 자신을 바꾸지 못하게 할 힘을 얻었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진정한 귀머거리는 누구인가 하는 의문을 던지게 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는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듣고 있는지 말이다. 이중 억압된 청각장애인 여성의 울부짖음을 듣고도 모른 척하는 것이 진정한 양심은 아닐진대 외면하는 것이 지금의 평화를 유지하는 길이라 믿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작품은 단지 청각장애인의 인권이 유린되었다는 단편적인 사실만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대 이 사회가 거대한 권력장을 형성해서 이들의 인권을 묵인하고 묵살하며 동조하고 있는 것에 대한 터트림이다. 신문기사에 몇 줄 등장하고 잊혀지는 단순한 성폭행 사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기억하고 바꿔야 할 것들이 있다는 것에 대한 거센 외침이다. 문학은 분명 현실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음을 이 작품은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We cannot but feel resentment against the absurd reality reproduced in this work at first while reading it. The resentment helps to draw criticism on the Establishment that cheated but acts composed and to form a consensus among the Non-Establishment. Through this we confirm that we have the same ideas and pave the way for communication. Changing the world could be difficult, however, keeping oneself from being changed by the world is even more difficult. Kang In-ho and Seo Yu-jin with hearing-impaired children try to change the world but they run into a huge black wall. However, their outcry didn't remain only hollow. It is worth enough making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unable to voice themselves think independently and furthermore getting much public attention to the truth of Ja-ae School (The School of Affection). Now they got the power to keep themselves from being changed by the world.
    We come to call into question who are truly hearing-impaired through this piece. Living in our time, we have to ask ourselves if we are listening to our inner voice or paying attention to the voice of social minorities. Aren't we living just believing that it is the only way to keep the peace even though it can't be truly conscientious ignoring the cry of a hearing-impaired woman among them?This novel does not simply try to deliver a piecemeal fact that the human rights of the hearing-impaired was violated. It is the disclosure about this society in our time not only forming a huge power field but tolerating, ignoring and sympathizing with their human rights problem. It is not about a case of sexual violence reported a few lines in the newspaper and then quick forgotten but about a strong voice of what we must remember and bring about changes. This work obviously says literature has the power able to change reality certain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