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궁내 태아사망의 모성 및 출생전후기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ernal and Perinatal Risk Factors on Intrauterine Fetal Death)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0.09
8P 미리보기
자궁내 태아사망의 모성 및 출생전후기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주산의학회
    · 수록지 정보 : Perinatology / 21권 / 3호 / 232 ~ 239페이지
    · 저자명 : 송태복, 김윤하, 김종운, 조혜연, 조아라, 김현정, 송은송, 최영륜, 김은경

    초록

    목적 : 자궁내 태아사망률은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전체 주산기 사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아직도 자궁내 태아사망의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의 위험인자들을 조사하여 향후 산전관리에 도움을 주고궁극적으로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5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임산부에서 단태아이면서 임신 28주 이상인 경우 중 자궁내 태아사망이 있었던 경우(연구군)와 없었던 경우(대조군)에 대하여 임상기록을 토대로 발생빈도를 알아보고, 임신부와 태아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들을 교차비, Student t 검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조사하고 또한 찾아낸 태아사망 위험 인자들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를 산출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임신 28주 이상 총 분만 3,637예 중 단태분만은 3,298예이었고 이중 자궁내 태아사망은 53예로 발생빈도는 1.6%이었다. 태아사망군의 임신부 연령분포는 25-29세에 20예(37.7%)로 가장 많았고, 임신28-32주가 22예(41.5%)로 가장 많았으며, 미산부가 23예(43.4%)이었다. 자궁내 태아사망은 20세 미만 전체의5.3%에서, 40세 이상 전체의 3.0%에서 발생하여 20세 미만과 40세 이상 연령군에서 다른 연령군의 1.3-1.8%보다 더 많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태아사망 위험 인자로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이었다. 이 인자들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로는 태반조기박리(β=-0.067, P=0.000)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β=0.002, P=0.000) 이었다.
    결론 : 임신 28주 이상 단태임신에서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 등이었으며 이 중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는 태반조기박리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이었다.

    영어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intrauterine fetal death (IUFD).
    Methods : We carried out a case control retrospective study,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Korea. We included all pregnant women diagnosed as singleton IUFD in pregnancies of 28 weeks of gestation or more, admitted to the hospital from Jan 2003 to Dec 2007. There were 53 cases of singleton IUFD and 3,298cases of singleton live birth during that period. The incidence, age distribution, and prevalent gestational weeks were analysed. The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using odds ratio, student's t test, and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ndependent risk factors.
    Results : The overall incidence of IUFD was 1.6%. The age distribution of mother with IUFD was highest in the age group of 20 year old or less (5.3%). IUFD was the most prevalent at 28-32 weeks of gestation (41.5%).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β =0.002, P =0.000) and abruptio placentae (β =-0.067, P =0.000).
    Conclusion : Lower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lower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ar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UF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lex etiology of stillbi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rinat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