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항하는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방송망 재고 (An Unstable Imperial Radio Network:Rethinking the East Asian Broadcasting Network of the Japanese Empi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5
30P 미리보기
난항하는 제국의 전파 네트워크: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방송망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7호 / 277 ~ 306페이지
    · 저자명 : 정지희

    초록

    본고는 제국 일본이 동아시아에 구축했던 라디오 방송망의 역사적 전개를 비판적으로 조망한다. 각 국가 단위의 식민지 방송사 연구 경향에 따라, 제국의 동아시아 방송망은 기존 사실로 당연시되거나 기술 발전으로 무난히 확장된 네트워크로 상정되곤 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과 설비, 그리고 제국 단위의 행정적 조율에 초점을 맞춰, 일본의 방송망이 과연 제국의 일체감과 문화적 패권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만큼 공고하고 시의적절하게 구축되고 운용되었는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동안 대체로 간과되었던, 일련의 기술적 어려움과 전국 방송 혹은 범(汎)제국 방송의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에 주목하여, 제국의 문화권력의 기반을 문제시한다.
    무선 방송기술은 전례 없는 광역성과 동시성을 실현시켜 줄 제국의 강력한 문화 통합의 도구로 기대를 모았다. 일본은 방송 초기부터 전국, 그리고 제국 전체를 아우르는 방송을 목표로 전국 방송망과 단파를 통한 범제국적 전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확장해나갔다. 특히 아시아․태평양전쟁은 설비확충과 제국 내 방송 경영체간의 유기적 조율을 촉진하여, 아시아 제(諸) 민족을 대상으로 한 일원화된 제국 방송 실현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동아시아 전파 네트워크는 종종 제국의 의도보다 한 발 늦게 확충되었고, 불완전한 무선방송 기술과 제국의 끊임없는 지리적 팽창은 잡음과 수신실패라는 불안 요소를 항시화하였다. 이로 인해, 제국의 일체감을 환기시켜야 할 방송이 오히려 주요 도시와 변방, 제국의 본국과 식민지/점령지 사이의 거리감을 상기시키곤 했다. 전쟁의 격화는 방송망의 물질적 기반을 심각하게 잠식하여, 완전한 범제국적 커뮤니케이션이란 결국 달성되지 않은 기술 제국주의의 미몽(迷夢)으로 남았다. 본고는 일본의 동아시아 방송망이란 다민족 청취자들에게 제국의 권능 뿐 아니라 제국의 한계 또한 실감시켰던, 불안정한 네트워크였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reconsiders the history of the Japanese Empire’s radio broadcasting network in East Asia. The network has often been taken for granted as a stable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or as a product of the smooth technological advancement that accompanied the empire’s territorial expansion. The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Japanese built and operated their broadcasting network in a steady and timely manner to sustain the empire’s sense of unity and cultural hegemony.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echnology/facilities and the administrative orchestration between the metropole and its colonies/occupied territories. On closer examination, the history of Japan’s imperial broadcasting network shows a series of technical difficulties and unfulfilled promises of nation-wide and empire-wide broadcasting. By revisiting these forgotten historical circumstances, my study aims to question the actual effect of the empire’s cultural power.
    Wireless broadcasting technology was expected to serve as a powerful tool for the empire’s cultural integration by generating synchronicity across the vast imperial space. The empire envisioned a nation-wide and empire-wide broadcast capability from the earliest years of the technology’s introduction. It endeavored to construct and expand the broadcasting network to cover both national and imperial space in order to realize such a vision. The advancement of shortwave technology enabled the empire to network the metropole and its colonies/occupied territories much more securely than before. The Asia Pacific War particularly expedited the facility expansion and empire-wide cooperation to an unprecedented level, which seemed to allow the network to transmit a unified voice of the empire to the multi-ethnic listeners of Asia.
    Nevertheless, the network often made slower progress than the imperial leaders intended. The imperfect wireless technology and the empire’s relentless expansion efforts perpetuated noises and reception failures. For this reason, the imperial broadcasts sometimes made listeners feel that there was a great distance between the major cities and frontiers, and between the metropole and its colonies/occupied territories; this was quite contrary to the broadcasts’ expected role as the generator of the sense of unity. The war’s elevation seriously undermined the network’s material foundation, leaving perfect communication within the imperial space an unfulfilled dream. Thus this paper argues that it was an unstable broadcasting network, which reminded multi-ethnic listeners not only of the empire’s power but also of its lim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