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경상도 水路ㆍ海路의 교통망 발달과 五廣大 문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Networks of Waterways and Seaways at Gyeongsang-Province and the Ogwangdae Cultur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5.08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경상도 水路ㆍ海路의 교통망 발달과 五廣大 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9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변광석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교통망과 상품유통의 발달 과정에서, 漕倉과 場市를 무대로 연희되는 五廣大 문화가 유행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찾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교통망 중에서 沿江路와 海路는 稅穀과 地代 및 다양한 상품 등을 운반하는 주요한 航路였다. 수로와 해로는 근거리 및 원격지 수송 운반을 위한 거점으로서 포구가 있었다. 이러한 포구 중에서 도호부나 군영 등 행정적ㆍ군사적으로 큰 도시에는 세곡의 수집과 운송의 거점인 漕倉을 끼고 있었다. 여기에는 관할 지역민이 동원되어 집하와 운송에 종사했고 이른바 사람과 물화의 교통의 거점이자 매개지점이 되었다. 경상도에서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밀양강과 남강을 연결하는 루트와 연안 해로를 통한 루트가 발달하였다. 특히 18-19세기에 경상도 지역에서 세곡운반선과 상선으로 붐비던 浦口나 津으로서 김해 칠성포와 불암진, 밀양 삼랑진과 수산진, 창원 마산포, 진주 병영과 가산진, 통제영과 통영창 등이었다. 여기에 물화유통을 위한 조창이 발달하였다.
    이와 같은 교통의 요지인 포구나 진을 중심으로 오광대 연희가 이루어지고 또 그것이 전파되어 갔다. 경상도에서의 연희는 합천 율지의 대광대(竹廣大)에서 비롯되었다고 대체로 보고 있다. 당시 율지장은 낙동강변에서 개시되는 포구장시로서 어염을 실은 장사배가 들어와서 내륙의 물화와 교역되던 곳이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경남 내륙과 해안에 전파되어 주요한 연희문화를 이룬 게 진주 가산창의 오광대, 창원과 마산 조창의 오광대, 고성과 통영창의 오광대, 가락 해창의 오광대 등이었다. 오광대의 연희는 장시나 포구에서 활동하는 상인층이나 조창업무를 관장하는 이속들에 의해 대개 주재되었다. 결국 경상도 남부 연안과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민중의 애환을 담은 오광대 문화는 민중문화ㆍ민속문화의 지역성을 담보하면서 발달해 나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spread of the Ogwangdae(五廣大; Mask Dance) culture existed around tribute granaries(漕倉) and regional markets(市場)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goods distribution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mong a variety of transportation networks, waterways and seaways were major shipping routes carrying grains paid as a tax and various commodities. Harbors(浦口), served as a base for short and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were located on the riverside and the seaside. Harbours which situated at big cities that ha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importance were connected with tribute granaries, the starting point for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ribute granaries entrusted local people with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hereby becoming the core and intermediate position for the traffic of people and goods. In Gyeongsang-Province(慶尙道), the route connecting the Miryang-river(密陽江) and the Nam-river(南江), with the Nakdong-river(洛東江) as a center, was developed together with another route using costal seaway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harbors and ferries(津) which were crowded with grain carriers and merchant ships in Gyeongsang-Province were as follows: the harbor of Chilseong in Gimhae(金澥 七星浦), the Samrang ferry of Miryang(密陽 三浪津), the harbor of Masan in Changwon(昌原 馬山浦), the Gasan ferry of Jinju(晉州 駕山津), Goseong(固城), and Tongyeong(統營).
    In general, Ogwangdae plays(演戱) were performed in and spread from harbors or ferries, functioned as a transportation hub. I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at Ogwangdae plays at Gyeongsang-Province originated from Daegwangdae(竹廣大) of Bamma-ri, Chogye(草溪 栗旨). At that time, there was a market held at the riverside of the Nakdong-river in Bamma-ri, where merchant ships touched at and exchanged fishes and salt with commodities from inland regions. The kinds of Ogwangdae which were circulated in costal and inland Gyeongsang-Province and formed a major culture regarding plays are as follows: Ogwangdae of the Gasan ferry of Jinju, Ogwangdae of tribute garanaries of Changwon and Masan, Ogwangdae of Goseong and Tongyeong, and Ogwangdae of the tribute granary at Garak. The merchants working in harbors or local markets and local officials managing each tribute granary provided a material foundation for the performance of Ogwangdae plays, presided over and took part in the performance as well. In short, Ogwangdae culture that embraced the joys and sorrows of people flourished in the shore of Gyeongsang-Province and the Nakdong-river basin, having immediate connection with transportational function of merchants in tribute granaries and markets around harb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