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弘望의 유배일기 <長沙日錄>의 특징적 기록 경향과 자료적 가치 (Characteristic Record Trend and Data Value of Exile Diary by Shin Hong-Mang(申弘望))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申弘望의 유배일기 &lt;長沙日錄&gt;의 특징적 기록 경향과 자료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76호 / 69 ~ 104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고송孤松 신홍망申弘望(1600~1673)의 유배일기 『장사일록長沙日錄』은 1652년(효종3) 10월 9일부터 12월 21일까지 작성된 것이다 . 10월 9일부터 17일까지는 한양으로 압송되는 여정을 기록하였고, 이후 11월 13일까지 약 25일 동안은 홍제원에서 유배지가 평해로 확정될 때까지 명을 기다리는 자신의 상황을 매일매일 기록하였다. 이때 신홍망이 장기간 홍제원에서 명을 기다린 것은 당초 벽동(현재 평안북도)으로 정배된 후 조정에서 정배 철회 논란이 지속되다가 도중에 감등減等되어 중도부처中途付處 형벌로 변경되었고, 이조차도 대신들의 철회 요청으로 혼란이 야기되면서 유배지를 확정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렸기 때문이다. 나머지 기간 동안은 유배지로 출발해서 그 곳에서의 생활 그리고 해배되어 평해를 떠나는 날까지 기록하였다.
    살펴본 결과 『장사일록』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 기록 경향을 뚜렷하게 나타냈다. 첫째, 유배형이 확정되어 집행될 때까지 조정의 논란이 지속되었는데 그 속에서 신홍망 개인이 겪은 상황이 정치적 배경과 함께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역사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유배형 확정 과정이 실시간으로 기록된 셈이다. 물론 개인의 시선이라는 한계는 뚜렷하다. 둘째, 신홍망은 유배 시작부터 끝나는 날까지 자신을 물심양면으로 돕던 인물들과 그들이 지원해 준 行資 등을 꼼꼼하게 기록하였다. 대개의 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자나 호 또는 관직만 언급되기 일쑤여서 누구인지 알기 곤란한 상황이 많은데, 신홍망은 『장사일록』을 기록하며 인물마다 방점 표시를 할 만큼 공을 들였다. 인물 표기 또한 당시 관직명을 정확하게 적거나 관직이 없을 땐 성명을 적어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셋째, 유배 당시 기록한 것이 아니라 말년에 일기 형식으로 재정리한 것이기에 신홍망이 유배 당시 지녔던 정서가 객관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장사일록』은 신홍망이 추후에 다시 기록하면서 자신에게 도움을 준 인물들을 꼼꼼하게 기록한 것 인만큼 단면적이기는 해도 당시 중앙 정계 인물들의 정치적 교류를 입체적으로 규명해 볼 수 있고 신홍망 개인 또는 문중의 인적 네트워크가 지역과 정치적 입지를 어떻게 넘나드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영어초록

    Gosong Shin Hong-Mang(1600~1673)’s exile diary 『Jangsaillok』 was written from October 9th to December 21st 1652(The 3rd year in the reign of King Hyojong). From October 9th to 17th, the journey to be transferred to Hanyang was recorded. After that, for about 25 days till November 13th, everyday, he recorded his situation of waiting for the order until the place of exile was changed from Hongjewon to Pyeonghae. At that time, Shin Hong-Mang had to wait for the order in Hongjewon for a long time because it took a long time to finally decide the place of exile. After Byeokdong(currently, Pyeonganbuk -do) was originally decided as the place of exile, the dispute related to the withdrawal of exile was continued in the Royal Court. Meanwhile, it was commuted and changed to the punishment of exile, which even caused confusion as the ministers asked for its withdrawal. During the rest period, he recorded the days of departing for the place of exile, living in the place, and leaving Pyeonghae after the exile was lifted.
    In the results of examination, 『Jangsaillok』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 record trend as follows. First, from the decision to the execution of exile, the dispute was continued in the Royal Court, and the personal situation experienced by Shin Hong-Mang wa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olitical background in detail.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exile was recorded in real time, which is hard to be found in historical books such as 『Annals』 or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course, the individual’s view is its clear limitation. Secon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exile, Shin Hong-Mang meticulously recorded people who helped him materially and emotionally, and monetary help they supported. Most of the people appearing in the diary were mentioned only as ja, ho, or public post, so it is tough to know who they were. However, Shin Hong-Mang made efforts to record 『Jangsaillok』 by marking each person with side dots. Regarding the marking of people, the name of public post was correctly written. In case when there was no public post, the name was clarified. Third, it was not recorded during the time of exile, but reorganized in the form of diary in his latter years, so the emotions felt by Shin Hong-Mang during the exile were objectively described. 『Jangsaillok』 was recorded by Shin Hong-Mang again afterwards. As a record meticulously showing the people who helped him, it would be good to fragmentarily, but solidly examine the political exchanges of people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of the time, and also to examine how the human network of Shin Hong-Mang himself or his clan was crossing the region and political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