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 __맛지마 니까야의 『소공경』과 『대공경』을 중심으로__ (The Early Buddhist Basis of the Mahayana Concept of Emptiness: A Study based on the Cūlasuññata-sutta and the Mahāsuññata-sutta of the Majjhima Nikāy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 __맛지마 니까야의 『소공경』과 『대공경』을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1호 / 297 ~ 325페이지
    · 저자명 : 담마끼띠

    초록

    空은 붓다가 설한 다양한 주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사상이다. 초기경전에서는 空의 단어가 여러 차례 언급되는데, 그 중에서도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의『소공경』과『대공경』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맛지마 니까야에서는 무아를 중심으로 공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아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의거해서 공을 관찰하는 것은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최초의 공성이다.
    공성은 맛지마 니까야에서 이미 언급된 것으로, 반야나 중관 등 여러 대승불교사상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주제이다. 이 때, 공성에 대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 초기불교의 경우 주로 我空을 말하고 있는 반면, 대승불교의 경우는 法空을 위주로 교설이 전개된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에서 강조하고 있는 法空의 개념은 초기경인 『소공경』에 주로 등장한다. 이 경을 살펴보면 수행자는 자기 마음에서 나타나는 일체를 현현(viññapti)일 뿐이라고 간주한다. 이를 통해 차례대로 일체에 대한 집착을 마음에서 제거함으로써 無相三昧를 얻게 된다. 일찍이 많은 학자들은 주석에서 무상삼매가 我空을 뜻한다고 주장하였지만, 이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며 我空이 아니라 法空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논자는 붓다가 我空만을 공성으로 본 것이 아니라 『소공경』, 『대공경』등의 경전에 나타나는 일체공, 즉 法空의 의미도 공성에 포함시켰다고 본다. 『니까야』에서의 공성은 오직 我空 뿐이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주석서에 法空이 언급되어 있지 않는 것은 전통에 따르기 위한 노력이었을 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我空과 法空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부파불교가 여러 학파로 나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Unlike the theory of self-begetting mutation by Brahmanism which argues that many appear from on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 may be the revelation of truth from many to one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Here, one refers to Dharma as the fundamental teaching by Buddha. Emptiness, including that of Dhamma itself, is the foremost among the key concepts taught by Buddha.
    The word ‘emptiness’ is mentioned in many discourses of early Buddhism. Among those, Small Discourse on Emptiness(Cūlasuññatā-sutta) and the Great Discourse on Emptiness(Mahāsuññatā-sutta) of the Majjhima Nikāya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Majjhima Nikāya, the nature of emptin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ion of no-ego. The early Buddhist view of emptiness is basically the non-attachment to any view of self or any other phenomena.
    Emptiness is the central theme in the Mahāyāna Mādhayamaka system. It is also a key concept in Mahāyāna in general. The concept of emptiness features prominantly in the Mahayana Prajnā Pāramitā sutrās. Subsequently it was developed by Nāgarjuna as the key concept in the Mādhayamaka system developed by him.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Buddhism and Mahayana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Emptiness is, while the former(early Buddhism) lays emphasis predominantly on the emptiness of self, the latter(Mahāyāna) extends it to cover the entire phenomena.
    If we look for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emptiness applicable to all phenomena in the Mahayana tradition we see that it is found in such discourses as Cūlasuññatā-sutta and Mahāsuññatā-sutta found among early discourses. According to the Cūlasuññatā-sutta, a practitioner may acquire the formless Samadhi by removing the attachment from the mind for everything by developing a perspective that everything is only an object of knowledge in the mind. Although the formless samadhi means the emptiness of self according to the annotations by many scholars, the arguments for this appeared from the early times with the appearance of the argument that it should be identified not by the emptiness of self but by the Emptiness of Phenomena. It is due to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of the emptiness of self and emptiness of phenomena that many divisions and various schools have appeared in the Buddhist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