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는 다른 언어로 말하고 있다”— 김성수·구갑우·홍지석·이지순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4~8』(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 (Speaking different languages–A Review of The History of Conceptual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4-8 (Seongsu Kim, Kabwoo Koo, jiSuk Hong, Jisun Yee et al., 2021, Sahoepyeongr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12
30P 미리보기
“우리는 다른 언어로 말하고 있다”— 김성수·구갑우·홍지석·이지순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4~8』(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28호 / 247 ~ 276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2018년 1~3권이 처음 출간된 이래, 2021년 4~8권으로 이어지는 다섯 권의 연구서를 새롭게 추가한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는 서로 완전히 단절된 채 각각의 발전 경로를 70년 이상 밟아온 남북한의 언어 상황을 비교하려는 방대한 규모의 기획이다. 2021년의 시리즈에서 두드러지게 새로운 특징은 7~8권에 집약되어 있다. 저자들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상적 성격이 강한 단어 총 26개를 선정한 뒤, 통일된 일정한 길이로 이 용어들을 서술하는 전략을 취했다. 7~8권의 이러한 시도는영국의 문화이론가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의 『키워드』(1976)를 롤 모델로 삼고 있다. 『키워드』가 가진 장점은 단어들 사이의 ‘내적 연관성’을 통해 개념들의 연관 지도를 그려내고, 궁극적으로는 담론의 ‘구조’를 드러내는 데 있다. 저자들이충분히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이 글에서는 26개의 용어 리스트 중 특히 ‘통속’-‘대중문화/군중문화’-‘계몽’-‘교양’의 구조적 연관을 중심으로 개념의 남북 분단사를 재구성해 보았다. 이 중심어는 집합적 주체에 대한 남북한의 태도 차이를 기술하는 단어들이다. 윌리엄스의 ‘문화’에 해당될 만큼 일상적이면서도 포괄적인 수준의 상징적단어는 ‘교양’으로 보인다. 남한의 ‘교양’이 대학교 등의 제도 편입 과정을 거치며 일종의 ‘지적 자산’ 내지 문화자본’의 의미에 점점 가까워진 반면, 북측에서 ‘교양’은 이상향으로서의 사회주의 건설에 필요한 가치 전반을 일깨워 주고 가르쳐 주는 일이라는 뜻으로 자리 잡는다. ‘교양’의 사례에서도 드러나지만, 이 저작을 통해 남북의 의미차이를 결정하는 최종 심급이란 결국 남측의 자본 위주 시장과 북측의 수령체제라는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Publication of The History of Conceptual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began in 2018, with volumes 1-3, and volumes 4-8 were added in 2021. This is a very substantial research project which sets out to compare the language situation of the two Koreas, already divided for several generations. Volumes 7-8 of the 2021 series are especially significant because of the new approach which they adopt. The authors selected a total of 26 words being used in everyday life, from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and then described these terms using a dictionary-like model, to a consistent length. This strategy follows the approach deployed by the British cultural theorist Raymond Williams in his seminal work, Keywords (1976). The advantage of Keywords methodology is that it allows us to draw a map of conceptual associations through the ‘internal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thus to ultimately reveal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at that time.
    In this series, although 26 terms are described, the authors seem to focus on the structural associations among the terms ‘통속 (通俗, common/popular/vulgar)’, ‘-대중문화/군중문화 (大衆‧群中文化, popular/mass culture)’, ‘계몽(enlightenment/Aufklärung)’, and ‘-교양 (culture/Bildung)’. These main keywords are central to dealing with the different attitudes of the North and South for this massive subject. The most symbolic and comprehensive word corresponding to Williams' ‘culture’ appears to be ‘교양 (culture/Bildung)’. In South Korea this term has gradually come closer to the meaning of ‘intellectual asset’ or ‘cultural capital’, through a process of assimilation in universities and other systems. By contrast, in the North, the same term refers to a pedagogical and aspirational value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utopia. With this example of ‘교양(culture/Bildung)’, the new series of The History of Conceptual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fully justifies its publication, by demonstrating that the ultimate determinant of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he two Koreas is their vastly different regimes: the South's market-oriented capitalism vs. the North's dictatori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