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화전」에 나타난 임진전쟁의 기억과 상상적 존재들의 의미:19세기 말의 시대상을 통해 본 시론적 고찰 (A memory of the Imjin war and meaning of imaginary creatures revealed in LeehwaJe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2
30P 미리보기
「이화전」에 나타난 임진전쟁의 기억과 상상적 존재들의 의미:19세기 말의 시대상을 통해 본 시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0호 / 165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종필

    초록

    이 논문은 기존의 「이화전」 연구가 작품의 설화적 요소 자체만을 주목해 왔음을 문제로 제기하면서, 작품에 구현된 설화적 상상력을 역사적 사건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해 보고자 기술되었다. 「이화전」 서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요괴의 출현과 퇴치의 화소들을 텍스트의 서두를 장식하고 있는 임진전쟁의 기억과 관련해 재해석한 것이다. 논의 과정을 통해 「이화전」에 등장하는 요괴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과 공포의 상징적 기표이며, 주인공에 의한 요괴 퇴치는 그와 같은 사회적 불안감에 대한 상상적 해결의 모색으로 규정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작품 창작의 시대적 배경으로 19세기 말의 청일(淸日)전쟁에 주목했다. 갑오농민전쟁의 여파로 조선에서 벌어진 청일전쟁과 그로 인한 사회적 동요가 「이화전」에서 강조하고 있는 ‘재조지은’의 기억과 그에 대한 상상적 보상의 추구 그리고 ‘요괴’로 표상된 전쟁의 공포 등을 산출해 낸 역사적 동인이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끝으로 「이화전」의 중세 지향성과 그것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를 짚어보았다. 「이화전」은 전쟁의 기억과 공포를 설화적 환상성의 지평 속에서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문학적 대응을 모색하고자 했던 텍스트이다. 하지만 모색의 과정 속에서 표출된 강한 중세 지향성은 근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닐 수 없었고, 이에 「이화전」 자체가 당대의 독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상의 논의가 기본적으로 창작 시기의 추론에 의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시론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literary imagination reflected on LeehwaJeon(李華傳) in relation to the memory for the Imjin war, supplementing the limit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s been only restricted on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ales.
    LeehwaJeon is seen as a work that embodies the social unrest caused by the memory for wars, through the narration about the appearance and eradication of a monster and also tries to address this unrest with an imaginary way.
    This paper focus on the Sino-Japanese war in the late 19th century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work.
    Joseon was enormously damaged by the war which took place in the territory of Joseon in the process of suppression of the Donghank Movement.
    These circumstances would provide a chance to remind people of the Imjin war. In addition, the tyranny of the Cheng dynasty also would evoke a sense of nostalgia for Myeong dynast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onster appearing in LeehwaJeon can be considered as a symbol for the social unrest and anxiety. In this context, the eradication of the monster by a hero would be an imaginary solution to deal with the issues.
    However, propensities strongly aspiring for the Middle ages, which can be seen in LeehwaJeon, would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ce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rapid social changes toward the modern era. Accordingly, it would result in little attention from the public of the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