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경북지역 의병일기의 사료적 특징과 활용을 통해 본 선비정신 - 「스토리테마파크」 이야기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The Righteous Mind of the Classical Scholar Seen from the Characteristics and Use of Materials from Volunteer Army Journals in the Area of Gyeongbuk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5.12
34P 미리보기
한말 경북지역 의병일기의 사료적 특징과 활용을 통해 본 선비정신 - 「스토리테마파크」 이야기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8호 / 175 ~ 208페이지
    · 저자명 : 심상훈

    초록

    이 글은 스토리테마파크 구축에 활용된 의병일기를 소개하고, 의병활동 등과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2015년은 을미사변이 일어난 지 120년이 되는 해이다. 아울러 을미의병 12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한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15년도 스토리테마파크」 구축 자료로 그동안 정리된 의병 일기 자료를 대상으로 이야기 소재를 추출하였다. 한말 의병전쟁에 관해서는 그동안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수많은 자료가 발굴되고, 이용되어 왔다. 의병전쟁 관련 자료들을 정리, 편찬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집도 의병전쟁 연구의 수준과 정도에 상응하여 그동안 꾸준하게 발간되어 왔다. 한말 의병전쟁에 관한 자료는 의병 자신들과 그 관련 인사들이 남긴 의병측자료와 의병을 탄압하였던 일제측(대한제국 정부측 포함) 자료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의병을 탄압한 일제측의 방대하고도 체계적인 자료 역시 의병전쟁의 성격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의병측이 남기 1차 자료가 절대적인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한국사에서 의병은 국가와 민족이 위급할 때마다 일어났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임진왜란을 극복하기 위해 일어난 임란의병과 일제의 무력 침략에 반대하여 일어난 한말의병이다. 임란의병과 한말의병은 외세의 침략에 대응하여 백성들이 ‘의義’를 실천하기 위해 전개한 무력투쟁이었다. 이들이 택한 의병전쟁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는 투쟁이다. 의병전쟁은 민족공동체가 소중히 생각하여 고귀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기꺼이 바치거나 혹은 생명을 내걸고 총칼로 불의한 대상을 직접 제거하려는 의거이다.
    한말 의병전쟁을 주도한 유생들과 병사로 참여한 백성들은 결국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투쟁하였다. 그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유생이나 병사들에게는 위정척사衛正斥邪였고, 충의정신忠義精神이었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에 정부가 시키지 않아도 흔연히 일어나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쳐 싸우려는 우국충정憂國哀情이 그 정신이었다. 또 이를 통하여 국가의 주권을 지키고, 민족의 위신을 되찾는 것이 그 목표였다. 그들이 국가 멸망의 위기 상황 속에서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책무를 성실히 이행해 나갔으며, 그것은 바로 이들의 본분에 충실한 삶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의병전쟁은 대의명분과 의리정신을 지키고 싶다는 명분 그리고 부끄러운 삶을 살지 않겠다는 선비정신과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이 담겨져 있었던 것이다. 한말 의병전쟁은 성공과 실패의 여부보다는 어디까지나 그 정신과 목표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introduced volunteer army journals that were used to build up a story theme park and has also organized the contents concerning volunteer army operations. The year 2015 is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Eulmi Sabyeon (the Affair of Murdering Queen Myeongseong in 1895, the year of Eulmi), and also the 120th anniversary of organizing the Eulmi Volunteer Army in 1895.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has extracted story subjects from the materials of volunteer army journals that have been organized to build up the 2015 Story Theme Park. Numerous materials in various forms and with various contents regarding the struggles of volunteer arm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found and utilized. These diverse types of materials concerning battles of volunteer armies were organized, compiled, and published according to the level and extent of research on battles of volunteer armies. The materials concerning operations of volunteer arm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made by volunteer soldiers and other people concerned with volunteer armies and the other left by Japanese people who opposed and repressed volunteer armies and their operation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second type of vast and systematic materials by Japanese people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volunteer armies in Korea.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type of materials by volunteer armies has absolute value for research on history.
    Volunteer armies developed whenever the nation was in crisis in Korean history. The most representative were the volunteer armies that came about to overcome the invasion by the Japanese in 1592, Imjin Waeran, and the volunteer arm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to oppose the Japanese invasion by military force. Imran volunteer armies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volunteer arm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conducted military struggles to respond to foreign invasions and righteously acted on the part of civilians. Civilian volunteer army battles were fought against imperial invasions. These volunteers struggled to realize the righteous and noble ideals that were cherished by the national community and removed unjust opponents with military force by willingly sacrificing themselves at the risk of losing their lives. The class that led these volunteer army struggles demonstrated aspects of the Confucian National Movement.
    Confucian scholars who led volunteer armies and general civilians who participated in battles as volunteer soldiers fought under the notion of justice. Such an idea led them to support righteousness and drive out wickedness with patriotism and loyalty. When the nation was in crisis, they were willing to arise and dedicate themselves to fighting against foreign invasion with concern about national security. Their purpose was to maintain national sovereignty and regain national dignity. They faithfully did their moral duty corresponding to their social status in a national crisis.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y chose to live properly performing their roles. These volunteer army battles demonstrated their grand cause of being faithful and loyal, the righteous mind of the classical scholar, and the practices of noblesse oblige. The importance of the spirit and aim of the volunteer army batt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rather than their success or failure, still holds meaning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