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과 젠더에 관한 한 시론: 19세기말~20세기 초의 회화와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A Fragmentary Reflections upon Death and Femininity: 19th Fin-de-siècle &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rts and Literatur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8.12
22P 미리보기
죽음과 젠더에 관한 한 시론: 19세기말~20세기 초의 회화와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언어 / 10호 / 211 ~ 232페이지
    · 저자명 : 권석우

    초록

    The study of the contiguity between death and femininity in Western literature has been made by many scholars such as Beth Bassein, Elisabeth Bronfen, Dorothy Dinnerstein, Nina Auerbach, and Bram Dijikstra. The Arts and literatures of the fin-de-siècle especially give lots of connecting links to the notion of death and femininity. Of course, the tendency to see death as being masculine has been existed. According to Karl Guthke, who did a memorable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d identification of death and femininity, the gender of death in the Middle Ages was uncertain because one could not decide whether Eve or Adam really brought death upon mankind. In the ages of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death was represented as demon who had no specific gender. It was in the Romantic Age when death was clearly defined as masculine: the motifs of “death and the maiden” and “death and the bride” became prevalent. It was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owever, that death was redefined and regarded as feminine. Lilith and Salambo were female figures who predominated in the arts and literary scenes of this century. Whether death is redefined as good or bad, masculine or feminine, the tendency to see women as keepers and carriers for death will be no more kept and valid in its old usage and context. To see woman as again the embodiment of love and regeneration will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 Western world which is death-oriented in its pursuit of destructive masculinity, violence, and war.

    영어초록

    The study of the contiguity between death and femininity in Western literature has been made by many scholars such as Beth Bassein, Elisabeth Bronfen, Dorothy Dinnerstein, Nina Auerbach, and Bram Dijikstra. The Arts and literatures of the fin-de-siècle especially give lots of connecting links to the notion of death and femininity. Of course, the tendency to see death as being masculine has been existed. According to Karl Guthke, who did a memorable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d identification of death and femininity, the gender of death in the Middle Ages was uncertain because one could not decide whether Eve or Adam really brought death upon mankind. In the ages of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death was represented as demon who had no specific gender. It was in the Romantic Age when death was clearly defined as masculine: the motifs of “death and the maiden” and “death and the bride” became prevalent. It was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owever, that death was redefined and regarded as feminine. Lilith and Salambo were female figures who predominated in the arts and literary scenes of this century. Whether death is redefined as good or bad, masculine or feminine, the tendency to see women as keepers and carriers for death will be no more kept and valid in its old usage and context. To see woman as again the embodiment of love and regeneration will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 Western world which is death-oriented in its pursuit of destructive masculinity, violence, and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언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