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Chinese Manual에 관한 소고 — 19세기 말 20세기 초 서양 중국학자의 문법서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 Chinese Manua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03
23P 미리보기
A Chinese Manual에 관한 소고 — 19세기 말 20세기 초 서양 중국학자의 문법서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논총 / 71호 / 33 ~ 55페이지
    · 저자명 : 조경환

    초록

    근대 시기가 주로 서양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연구한 시기였다면, 19세기 말 20세기 초는 선교사뿐만 아니라 서양 중국학자들의 중국어 연구가 본격적으로 활발히 진행된 시기였다. A Chinese Manual(1904)은 근대 시기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어느 정도 반영하면서도 기존의 틀을 벗어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과도기적인 문법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기본 구성 역시 문법 교재와 회화 교재를 겸비했다는 면에서 기존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와 차이가 있다. A Chinese Manual(1904)의 기본 품사 체계나 격 체계는 라틴어의 체계가 아닌 중국어에 좀 더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유형의 使動 구문, 被動 구문, 把字句등을 제시하였는데, 우리는 이로부터 이들 구문의 성질 및 문법 태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우리는 敎字句와 叫字句를 통해 使役과 致使간의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把字句 역시 處置와 非處置의 다양한 용례를 볼 수 있었다. 중국어의 시간 체계에 관하여 A Chinese Manual(1904)에서는 라틴어 체계에 근거한 5시제설이 아닌 3시제설을 채택하였고, 이를 근거로 ‘了’, ‘着’, ‘過’의 여러 용법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로부터 우리는 이러한 상 표지가 [동사 - 動相 보어 – 상 표지] 순으로 문법화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오늘날의 관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요컨대 근대 시기가 선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중국어 문법 체계를 완성해 나갔던 시기였다면 19세기 말 20세기 초는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라틴 문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중국어 자체에 중점을 두고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A Chinese Manual(1904)에서 그대로 반영되었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동시기 중국인이 쓴 초기 문법서들과 좀 더 심도 있는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면 여러 문법 현상을 좀 더 잘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 Chinese Manual(1904),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mong Chinese-related grammar boo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 Chinese Manual can be said to be a transitional grammar book in that it attempted to escape the existing framework while reflecting some of the research results of Western missionaries’ grammar books in the modern period. The basic formation of this book is also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estern missionaries’ grammar books in that it has both a grammar textbook and a conversation textbook.
    The part-of-speech system or case system of the A Chinese Manual was analyzed with a little more emphasis on Chinese, not the Latin system, and various types of Causative constructions, Passive constructions, and Ba construction were suggested. The nature of these constru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form could be figured out.
    Regarding the time system of Chinese, the A Chinese Manual adopted the three tense theory instead of the five tense theory based on the Latin system.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se le⋅zhe⋅guo are grammaticalized in the order of ‘verb – phase complement – aspect marker’, which is not much different from today’s perspective.
    In short, if the modern times was a period when missionaries were the main axis and completed the Chinese grammar system, the early 20th century was a period of research and explanation in more diverse ways, focusing on the Chinese language itself and it was reflected in the A Chinese Man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