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Analysis of the Derivation Aspects and Meanings of North Korean Color Derivative Words –Based on Color Words in the “Joseonmaldaesajeon” (2017))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09
36P 미리보기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2권 / 3호 / 245 ~ 280페이지
    · 저자명 : 최윤

    초록

    본 논문은 북한어 고유어 색채 파생어의 파생 양상과 의미 분석을 통해 한국어 색채어의 인식과 표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윤(2022)의 후속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말대사전’에 등재된 색채어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어 색채어의 파생 양상과 접사의 의미 자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색채어류별로 결합하는 접사의 수와 결합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며 각 색체어별로 파생어 상이한 파생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생 접사별 색채어류에 따른 파생어 수를 확인하여 접사별 파생력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선말 대사전’의 사전 뜻풀이를 바탕으로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 자질을 ‘평가 태도([긍정], [부정])’와 ‘색채([명도], [채도], [균질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어와 남한어 고유어 색채 파생어의 구성 양상과 의미를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었으며, 한국어의 색채어 파생의 양상과 의미 자질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남․북한 색채어와 관련한 일련의 연구를 확장하여 추후 남․북한어에서의 색채어 사용 양상을 비교한다면 한국어 색채 파생어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확장 과정 및 한국어의 색채 인식 방식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Korean users perceive and express colors by analyzing the derivational patterns and semantic features of color derivatives in North Korean native words. As a follow-up to Choi Yoon (2022), this paper examines the derivational patterns and semantic properties of affixes in North Korean color terms, based on an analysis of color terms listed in the “Joseonmaldaesajeon.” The findings reveal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types of affixes attached to different color terms, demonstrating varying derivational patterns across color categories. In addition, the number of derivatives for each color affix was examined to assess the productivity of each affix. Lastly, the semantic features of color derivational affix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ctionary definitions in the “Joseonmaldaesajeon,” focusing on evaluative attitudes ([positive], [negative]) and color properties ([brightness], [saturation], [homogeneity]).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patterns and meanings of native color derivatives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n, and provides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the derivational patterns and semantic features of Korean color terms. Expanding this series of studies on North and South Korean color terms to compare the usage patterns of color terms in both regions is expected to shed new light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lor derivation, the process of semantic expansion, and the perception of color i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