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의병탄압과 주한일본군 헌병대의 역할-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치안구상을 중심으로 - (Suppression of Korean Loyal Troops and the Roles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Korea- With a focus on Korea's public order vision by Ito Hirobumi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8.06
38P 미리보기
한말 의병탄압과 주한일본군 헌병대의 역할-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치안구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0호 / 119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승희

    초록

    본 연구는 러일전쟁 이후 주한 일본군 수비대가 의병탄압 과정에서 자행한 학살행위와 주한 일본군 헌병대의 대두, 기구 확장과의 관련성에 대해 통감 이토의 한국 ‘치안유지’ 구상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 기존의 헌병대 대두론에 새로운 시점을 추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7년 후기부터 시작되는 주한 헌병대의 본격적인 기구 확장은, 마츠다 토시히코로 대표되는 기존의 선행연구가 주장해 온 것과 같이 세밀배치와 소집단 행동이 가능한 헌병대가 게릴라화한 의병의 진압에 적합했기 때문이라는 논리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헌병대의 확장은 일본군 수비대가 의병투쟁 진압과정 중에 자행한 의병과 한국민 학살에 대한 국내외의 강한 비난에 의해 탄압방침을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던 통감 이토의 조치였던 성격이 강했다. 이토는 통감부 설치 이래 하세가와 요시미치 주한일본군 사령관과 대립하고 있었고, 통제하기 힘든 군의 수비대 대신에 통감에게 예속시킨 헌병대의 확장을 통해 한국 경찰기구 확충을 꾀하려고 했던 측면이 강했던 것이다. 본래 이토의 ‘치안유지’ 구상의 중심이었던 문관경찰로는 나날이 고양되는 의병투쟁에 대응할 수가 없었다. 그 때문에 이토는 군대조직이지만 경찰기구로서 통감의 지휘 하에 놓여있던 주한 헌병대의 기구를 확장시켜 고양하는 의병투쟁 문제와 국내외의 비난을 동시에 회피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통설에서처럼 의병탄압의 주도권을 헌병대가 쥐었던 것은 아니었고, 실제로 의병투쟁 고양기 전반에 걸쳐 탄압의 전면에 나서 활동했던 것은 수비대였다.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온 일본군 측의 의병탄압 자료로, 진압활동에 있어 수비대에 대한 헌병대의 우위를 설명하기위한 근거로 사용되어 왔던 『조선폭도토벌지』 부표의 통계에, 수비대가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동시기 최대 규모의 의병탄압 작전이었던 ‘남한대토벌’ 작전의 성과가 결락되어 있는 문제는, 헌병대가 의병진압에 적합하다는 당시의 헌병대측 논리를 그대로 받아들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작전기간 중 수비대와 헌병대를 라이벌시하며 의병탄압 성과를 올리기에 급급했던 헌병대의 자세도 의문을 증폭시킨다. 헌병대는 의병진압이라고 하는 전투행위에서 무력으로 앞서는 수비대의 능력에 비할 바가 아니었고, 실제로 전체기간을 통틀어 의병진압의 중심은 수비대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massacres committed by the Japanese Army in Korea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the Korean loyal troops after Russo-Japanese War,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JMP) stationed in Korea, and the relations with its expansion by focusing on Ito Hirobumi's vision of ‘maintenance of public order in Korea.’ It also aimed to add a new perspective to the existing theory about the emergence of the JMP.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represented by the one by Matsuda Tosihikosi maintain that the full-scale expansion of the JMP in Korea in the latter half of 1907 was possible because it was proper to suppress the Korean loyal troops that became guerrillas with its detailed arrangement and capability of small group actions. But it's not likely to explain its expansion only with such logic. Its expansion was rather a measure taken by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Ito, who's forced to change his suppression policy being vehemently criticized home and abroad for the Japanese Army' massive killing of Korean loyal troops and civilians in the course of operation. Ito was in the confrontation with Hasegawa Yoshimichi, who was the commander of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n Korea, since the foundation of the Residency-General. Thus he tried to bulk up the police organization in Korea by expanding the JMP, which was under the direct supervision of the Residency-General, instead of working on the guards that were difficult to control. It was challenging to react to the struggles of Korean loyal troops, which gained force day after day, only with the civilian police, which was the center of his vision of ‘maintenance of public order.’ It's his intention to expand the JMP in Korea, which was under the direct guidance of the Resident-General as a police organization even though it's actually a military organiza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resistance from the Korean loyal troops and to avoid criticism of him home and abroad.
    However, it's not true that the JMP had the leadership in suppressing the Korean loyal troops as the popular opinion claimed. It was the Japanese Army that took the front line in suppressing them throughout the period in which their resistance surged. Chosunpokdotobeolji has been used as the source of statistics for Japan to suppress the Korean loyal troops and as the ground for the researchers to explain about the superiority of the JMP to the Japanese Army in the suppression operations. But it misses the results of “Operation: Massive Subjugation of South Korea,” which was the largest operation of oppressing the Korean loyal troops in the period when the Japanese Army played a central role. That poses a risk of accepting the logic maintained by the JMP that it was the right force to suppress the Korean loyal troops in those years. Its attitude of making itself as the rival to the Japanese Army during operations and concentrating on performance results also raises questions. The fact is that the JMP was not even close to the Japanese Army whose military power was by far more overwhelming in the combat actions of suppressing the Korean loyal troops. As a matter of fact, it was the Japanese Army that played the pivotal role in suppressing the Korean loyal troop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