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말샘>의 방언 표제어에 대한 연구-제주방언에서 '·'로 실현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lect headword in Urimalsaem -Focusing on words expressed with ‘ㆍ’ in Jeju dialec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3
39P 미리보기
&lt;우리말샘&gt;의 방언 표제어에 대한 연구-제주방언에서 &#039;·&#039;로 실현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69호 / 229 ~ 267페이지
    · 저자명 : 김미진, 권미소, 현혜림

    초록

    이 연구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표제어 가운데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된 단어가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표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말샘>에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되는 단어를 ‘~로도 적는다’처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의 수를 확인하면 단어는 4,008개이고, 하나의 단어에서 ‘ㆍ’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포함하면 총 4,718번이 확인된다. 이들은 대체로 ‘ㅏ’로 표기되었고, 이어 ‘ㅓ, ㅗ, ㅜ, ㅡ, ㅣ’ 등으로도 나타났다. ‘ㆍ’의 ‘ㅏ’ 형 표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나타나는 단어들을 표준어형에 기대어 ‘ㅏ’의 변화로 파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말샘>에서처럼 제주방언에서 나타나는 ‘ㆍ’를 일괄적으로 ‘ㅏ’ 형으로 표기할 경우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등과 같이 실제 제주지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형태가 나타나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
    한편 <우리말샘>에서는 제주방언에서 ‘Xᄒᆞ다’로 나타나는 단어의 99.7%를 ‘X하다’ 형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방언의 ‘Xᄒᆞ다’가 ‘X허다’로 변한 형태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우리말샘>에서 제공하는 제주방언의 이형태 표제어의 기준은 매우 불분명하다.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등의 단어에서는 방언의 다양한 변이형들을 표제어로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변이형, 이를 테면 ‘아ᄃᆞᆯ’이 ‘아덜’처럼 나타나는 경우에 대해서는 찾아볼 수 없고, 제주지역에서 실제 발화되지 않는 ‘아달’이 변이형으로 제시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리말샘>에서 방언 표제어를 싣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방언 표제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주방언의 표제어에서 잘못 제공되는 자료를 바로잡아야 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제주방언 가운데 ‘ㆍ’로 실현되어 표기될 필요가 있는 단어에 대해 표제어로 추가하는 한편 표제어 선정에 실제 발음을 최대한 고려한 표기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표제어 선정에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나아가 실제 발화를 기록한 텍스트 자료와 음성을 확인한 후 다양한 이형태를 표제어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방언의 표제어에 발음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in confirming how words expressed with ‘ㆍ’(Are-a) in Jeju dialect amongst Jeju dialect headwowrds are registered in <Urimalsaem>, inspecting issues of notation erro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issue.
    In <Urimalsaem>, ‘ㆍ’(Are-a) appears 4,718 times in 4,008 Jeju dialect words, most of which is notated as ‘ㅏ, ㅓ, ㅗ, ㅜ, ㅡ, or ㅣ’. It is notated in ‘ㅏ’ mostly as words using ‘ㆍ’ (Are-a) in Jeju dialect has been studied as a variation of ‘ㅏ’ based on conjecture and expansion of standard language. However, the issue is that when ‘ㆍ’(Are-a) in Jeju dialect is uniformly notated in ‘ㅏ’, it creates words such as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which are not practically used in Jeju Island, creating confusion in its user.
    In <Urimalsaem>, 99.7% of the words in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are shown as ‘X하다’ form. Such does not acknowledge conversion of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to ‘X허다’. Furthermore, standards for allomorphic headword for Jeju dialect provided in <Urimalsaem> is incoherence. In words like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very diverse allomorphs are offered as headwords, but allomorphs that must be provided, such as ‘아ᄃᆞᆯ’ into ‘아덜’, cannot be found, but ‘아달’, which is never used, is rather provided as allomorph.
    Therefore, This study has added words that must be notated with ‘ㆍ’(Are-a) amongst Jeju dialects in <Urimalsaem>, emphasized notation based on natural speech in selecting headword, and proposed more logical standard in selecting headword and furthermore addition of various allomorphs as headword after confirming textual reference and dictation in recording of its actual speech. Also, headword of dialect including Jeju dialect has been noted of necessity to provide its pronunciation.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on dialect headword is very meaningful feature in <Urimalsaem>. However, it seems as a very urgent issue to correct the incorrect entries of Jeju dialect that consists the most of dialect headwords. I hope <Urimalsaem> would become a better open dictionary after reviewing the errors commented in this article along with future improvement plans and other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