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사대부의 교유시(交遊詩) 연구 —둔촌, 척약재, 포은, 도은, 삼봉, 양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riendship poems of Sadaebu(the scholar-gentry class) in Late Koryo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10
34P 미리보기
고려 말 사대부의 교유시(交遊詩) 연구 —둔촌, 척약재, 포은, 도은, 삼봉, 양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2호 / 33 ~ 66페이지
    · 저자명 : 강혜선

    초록

    고려 말은 역사적 대전환기이면서 우리 문학사에서 사대부문학이 정착된 시기이다. 본고는 고려 말 일군의 사대부들이 남긴 풍성한 교유시(交遊詩)를 통해 그들이 공유한 세계관과 문학적 공감대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한시라는 미적 형식을 통해 그들이 공유했던 삶의 가치와 의미는 무엇인지, 또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일생을 살았던 그들이 보여준 인간적 유대와 우정의 정경(情景)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성리학을 기본으로 삼아 고려의 조정에 출사하여 적극적인 관료생활을 펼쳤던 공민왕 후반기 때부터(1370년 경) 조선 건국을 둘러싼 극심한 정치적 격변기가 도래하기 이전인 1390년 즈음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이집, 김구용, 정몽주, 이숭인, 정도전, 권근의 교유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교유시 양상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정몽주, 이숭인 등이 직접 만나 함께 어울리며 펼쳐 보인 오언(晤言)과 아회(雅會)의 정경을 담은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둘째, 성리학자로서의 일상과 내면이 잘 드러난 작품들과, 사대부 유자(儒者)로서의 이상과 실제 정치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빚어진 갈등과 고민을 서술성 강한 송시풍으로 담아낸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셋째,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타의든 자의든 낙향과 유배를 살았던 그들이 도연명시에 공감하여 남긴 은일지향의 작품들을 주목하였다.
    이집, 김구용, 정몽주, 이숭인, 정도전, 권근은 학문적으로는 성리학 공부에 힘쓰고, 정치적으로는 공민왕 대 후반기에 출사하여 유가의 이상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던 동지들이었다. 그들은 이전 시대와 비교하기 힘들 만큼 양적, 질적으로 풍부한 교유시를 남겼는데, 그들의 결속과 유대를 더욱 강하게 해준 것이 문학적 교유였다. 그러나 그들의 진한 우정도 결국, 조선 건국 즈음에 이르러서는 정치적 노선의 극단적인 선택이 갈림으로써 비극으로 끝나고 말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friendship poems written by a group of Sadaebu(the scholar-gentry class) in Late Koryo Dynasty. The members of the group who were based on Neo-Confucianism entered government service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Gongmin(c1370). They pursued an political ideal of Confucianism and sought communion with one another in literature. Yi Jip, Kim Kuyoyg, Jeung Mongju, Yi Sungin, Jeung Dojeon and Kwon Keun kept company with each others and wrote many poems reflecting their friendship. The poetic scenes that they gather around together and have a friendly talk are very impressive. Also the poems that they express their daily lives and the inner worlds as Confucian scholars are a little descriptive. They sympathized with pastoral poems of Tao Yuanming and lived in seclusion to avoid the confus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They exchanged the poems that they consoled one another in grief or frustration. The friendship poems strengthened the solidarity among them on those days. But their firm friendship ended tragically in time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y had differing political opin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