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와 음악 간의 새로운 관계 - 말라르메에게 있어 시 창작원리로서의 음악 (A New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 music as Creative Principle of Poetry in Mallarmé's Worl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9
27P 미리보기
시와 음악 간의 새로운 관계 - 말라르메에게 있어 시 창작원리로서의 음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44권 / 211 ~ 237페이지
    · 저자명 : 도윤정

    초록

    본 논문은 근현대 시대에 들어 새롭게 정립된 시와 음악 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고자한다 . 이 시기는 구술문화가 물러가고 문자문화 , 인쇄문화가 지배적이 되고 이에 따라낭독보다는 묵독이 보편적인 된 시기이다 . 이 시기의 특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만의음악 개념과 그것으로부터 새로운 시 창작 원리를 만들어 간 말라르메를 연구 대상으로삼았다 . 그의 ࡔ 디바가시옹 ࡕ 과 서간문을 분석하면서 이 작업을 수행한다 . 특히 「 시의위기 」, 「 음악과 문학 」, 「 문자에 담겨 있는 신비 」, 「 책에 관하여 」 등의 글이 주요 분석대상이다 .
    첫째 , 말라르메에게 있어서 음악은 신비로움과 성스러움과 연결된다 . 음악을 감싸고있는 것이 신비로움이며 음악이 지향하는 것이 성스러움이다 . 그 성스러움은 인류의시원에서부터 존재한 인간 내면의 것이다 . 이런 음악의 특성 , 즉 , 음악적인 것을 시의세계로 전환하고자 하는 원리가 말라르메의 첫째 창작 원리이다 . 그런데 말라르메는음악을 단지 소리의 차원이나 악기의 차원으로 환원하지 않고 사물들 사이의 관계들의총체라고 , 추상적으로 정의한다 . 이런 음악은 총체적 리듬 , 분위기 , 기운과 같은 것이다 .
    둘째 , 이런 ‘ 음악 ’ 을 어떻게 문학 작품 속에서 구현하느냐의 문제가 남는다 . 음악은신비로움에 싸여 있으므로 음악을 구현하는 문학 작품은 신비로운 방식으로 이 음악 , 즉 성스러운 세계를 전달해야 한다 . 이러한 방식은 시를 하나의 구조로 만드는 창작원리를 낳는다 . 즉 , ‘ 음악적으로 ’, 실체적 사물과 시인의 ( 시인의 주도권 ) 사라짐이라는 방식으로 , 단어들만으로 울림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말라르메의 둘째 창작 원리이다 .
    울림의 구조는 청각적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인쇄문화의 확산 속에서 말라르메는 시각적구조를 만드는 것으로써 말소리의 불완전성을 극복한다 .
    이리하여 그는 소리 못지않게 침묵을 , 청각 못지않게 시각을 시 세계의 주요 모티프와창작의 핵심으로 도입하게 된다 .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시와 음악 간의 관계와 그로부터도출되는 시 창작 원리는 여전히 문자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 탐구에 있어주목할 관점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oetry esta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This was a period when reading silently was the dominant culture rather than reading aloud and orality was limited due to the emergence of literacy and print culture. A poet sensitiv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Mallarmé created his own concept of music and new creative principles of poetry from it. We analyze his 『Divigation』 and letters, in particular, the "Crisis of vers", "Music and Literature", "Mystery in the letters", and "About the book." Firstly, Mallarmé connects music with the mystery and the sacred: the mystery surrounds the music and the music is oriented with the sacred. The sanctity is that of the human race and has existed within humans since the beginning.
    Transp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 to the poetry is his first creative principle of poetry. However, Mallarmé called music a totality of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objects without reducing the dimension to only the instruments or the sound. His definition is abstract, regarding music as a complete rhythm, the atmosphere and the air.
    Secondly, we have the question of how to realize music in a poem. As the music is surrounded by the mystery, Mallarmé can transpose the sacred to a poem in mysterious ways. This leads to his second principle of poetry: make a poem as a structure. In other words, 'musically', based on the disappearance of real objects and the initiative of the poet, he created a structure with only the words.
    We can create an acoustic structure but Mallarmé created a visible structure to overcome the incompleteness of the sound of a word in the diffusion of print culture.
    In this manner, the use of silence as much as sound and the use of visual as much as aural components were introduced in poetry as important motifs and the essentials of creation. This new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the creative principles drawn from it appear to be the areas to which attention should be focused in the research of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