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상과 진리: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에 나타난 시인의 초상 (Schein und Wahrheit: Das Dichterbild in Friedrich Nietzsches Also sprach Zarathust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3
32P 미리보기
가상과 진리: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에 나타난 시인의 초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학 / 30권 / 1호 / 141 ~ 172페이지
    · 저자명 : 권혁준

    초록

    니체가 자신의 철학을 완성하던 시기에 쓴 주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1885) 는 이전 사상을 통합하고 이후의 사상적 전개에 토대를 제공한 작품일 뿐 아니라 ‘문학적인’ 형 식의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이 저작은 문학적 형식을 넘어 진리를 둘러싼 철학 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니체의 사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저 작에 나타난 ‘시인’ 이미지의 양가성을 분석함으로써 진리-철학-문학이 니체의 사유에서 어떤 관계에 있는지 조명하고자 한다. ‘차라투스트라’의 언급에서 시인은 세계의 현 존재에 대한 잘못 된 환상을 제시하는, 차라투스트라의 진실성과는 대비되는 존재로 언급되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차라투스트라 자신을 시인과 동일시하는 ‘거짓말쟁이’의 역설에서 해체된다. 시인은 또한 성찰 부족과 허영심에서 가상과 기만을 지향하다가 자신의 예술에 구역질을 내는 ‘정신의 참회 자’가 될 수밖에 없지만, 파괴와 새로운 창조 작업을 수행하며 삶을 긍정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특히 「우울의 노래」 장(IV, 14)에서는 시적 자아의 회상 형식으로 ‘진리의 구혼자’이고자 하지만 ‘모든 진리로부터의 추방’을 갈망하는 시인의 실존적인 불화가 묘사되는데, 니체의 사유에 따르 면 그것은 진리에 대한 사랑 내지는 철학자적 실존에 내재하는 필연적인 예술 지향성을 표현한 것이다.

    영어초록

    Nietzsches Hauptwerk Also sprach Zarathustra gilt als sein bedeutendstes dichterisches Werk. In dieser Studie wird versucht, das Dichterbild in diesem Werk herauszuarbeiten, um das Verhältnis der Dichtung zur Wahrheit bzw. das Konkurrenzverhältnis zwischen Kunst und Philosophe im Denken Nietzsches zu beleuchten. Aus den Reden Zarathustras über den Dichter lässt sich vor allem ein ambivalentes Dichterbild ablesen: Einerseits erscheint der Dichter wegen seiner unaufrichtigen Illusion über den Zustand des Daseins nicht in der Lage zur Mitteilung einer philosophischen Wahrheit zu sein. Andererseits wird der Wahrheitsgehalt dieser Behauptung dadurch relativiert, dass Zarathustra sich selbst mit dem Dichter identifiziert, wodurch die Prämisse des lügenhaften Dichters dem berühmten Paradoxon vom Kreter ähnelt, der behauptet, dass alle Kreter lügen. Darüber hinaus wird in dem Lied des alten Zauberers im Zarathustra-Kapitel ‘Das Lied der Schwermuth’(IV, 14), in dem sich ein lyrisches Ich an seine verzweifelte Erfahrung mit der Wahrheit erinnert, das Verhältnis des Dichters zur Wahrheit thematisiert. Durch das Leitmotiv, von aller Wahrheit verbannt zu sein, wird der Dichter zu einem lügenden, raubenden Tier und zum Narren und Dichter erklärt, der sich doch letztendlich vom ‘Wahrheitswahn’ abwendet und dem nächtlichen Traum bejahend verfällt. Die dissonante Existenz des Dichters bzw. dessen Verhängnis erweist sich jedoch nach Nietzsches Denken als das Verhängnis des tragisch Erkennenden, der zwar Wahrheit will und doch in Ermangelung der Möglichkeit von Wahrheit immer nur Schein erschafft und somit lügen muss. Durch das Medium der als fragwürdig betrachteten Dichtung wird also die unauflösbare Zerrissenheit des Philosophen zwischen dem Willen zur Wahrheit und dem Bewusstsein der Lüge zum Ausdruck gebrac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