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재 전우는 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性師心弟)를 말하였는가? (Why did Ganjae Jeon Woo claim Simbonseong and Seongsasimj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3
20P 미리보기
간재 전우는 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性師心弟)를 말하였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67호 / 33 ~ 52페이지
    · 저자명 : 유지웅

    초록

    기호학파 낙론을 계승하는 간재의 성리설은 심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특징적 면모가 드러낸다. 리무위, 기유위의 리기관계에 따라 성무위, 심유위의 심성관계가 성립되는데, 이때 무위한 성은 유위한 심에 의해서만 표현될 뿐 성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능동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즉, 무위한 리인 성은 유위한 기인 심에 의해서만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간재는 도덕행위의 원리, 기준, 법칙이 되는 성의 실재만으로는 도덕행위의 온전함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 아래, 실질적 실현자인 심에 주목하게 된다.
    간재는 먼저 도덕행위의 실질적 실현자로서 심에 대한 가치론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주목한다. 간재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精英한 기이기에, 일반적인 기질과는 다른 차별적인 것일 뿐 아니라,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기의 본으로 가치론적으로도 본선한 것이라 말한다. 따라서 간재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청탁수박이 혼재해 있는 기질과는 상대적인 것으로 심은 기의 본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본래 선한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일련의 주장은 심기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노주와 매산에 의해 더욱 구체화된 기본말과 심본선의 이론을 계승한 것이며, ‘심시기’하에서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차별적 이해를 통해 심의 가치론적 영역을 확보하려는 낙론계 성리설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덕주체로서 심의 본선함을 주장하는 낙론계 심론과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가 일반적인 기질과는 다른 차별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어디까지나 본선한 것이지, 성과 같이 항상 선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심이 도덕행위의 주체로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가치론적으로 도덕적 영역을 확보한 것이지만, 결국 본래 선한 것일 뿐, 항상 행위의 결과까지 선한 것으로 담보할 수는 없는 불완전한 주체일 뿐이다. 따라서 불완전한 도덕주체인 심이 성을 근본으로 하고, 성을 지향하고, 성을 스승으로 본받아 인간 행위를 주재하기 위해서는 제자인 심은 항상 배우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간재는 자신의 학문적 結晶인 ‘심본성’, ‘성사심제’를 통해 수양의 의미를 강조하게 된 것이다.
    간재는 ‘심본성’과 ‘성사심제’의 구체적인 수양 방법을 경과 치지를 통해 제시한다. 경은 심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중의 상태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외물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라면, 치지는 심의 인지 작용을 확충하는 것이고, 또 이미 인식한 지식을 더욱 확장하여 성리를 심의 덕으로 삼는 것이다. 따라서 간재는 경과 치지의 수양을 통해 制心, 操心하여 심의 본래면목을 회복하는 것을 수양의 기초로 제시함으로써 본선한 심과 순선한 성의 일치를 통해 도덕행위의 온전함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심은 성을 근본으로 삼고, 성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성을 스승으로 삼아 인간 행위를 주재할 수 있는 온전한 도덕주체가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Basically Based on neo-confucianism of Chutzu, Ganjae’s neo-confucianism is base on Yulgok’s ‘Simsiqi’, which is the academic basis for Kiho school, and Nongam’s neo-confucianism,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Nakron. In particular, the Nakron ceo-confucianism formed through Nongam, Doam, Miho, Guenjae, Maesan, and Kosan was at the forefront of the Kiho School as well as Chosun neo-confucianism at that time and this trend also applied to Ganjae, which is dealt with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kron neo-confucianism developed from Nongam to Ganjae have focused on securing axiological domain of 'mind' which is the moral subject. According to Yulgok's Li-Qi relationship between Li has no action and Qi has an action, ‘moral nature’, which is an inactive th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mind’, an active thing, under the composition of the nature has no action and the mind has an action. Therefore, Nakron neo-confucianists paid attention to the discussion about the ‘mind’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However, unlike the always good nature, for the Nakron scholars who succeeded ‘Simsiqi’, the mind has limitations because it has a mixture of good and evil and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regards of qi which is very likely to flow to evil.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Nakron proposed the account of root and branches in qi and Original goodness of mind in order to secure the axiological domain of the mind which is responsible for realization of the nature. However, emphasizing ‘the mind’ in the process of moral practice has a structural problem that make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ure ‘moral principle’ relatively weak. And it also has a problem about the ‘control.’ To solve these problems, Ganjae presente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ure’ in the process of moral behavior, and for the ‘control’ problem of the ‘nature’, he suggested mind-nature relation of ‘Simbonseong’ and ‘Seongsasimje’ And also through ‘Simbonseong’ and ‘Seongsasimje’, Ganjae refuted the misconceptions about Nakron Neo-confucianism of Hwaseo school and Hanju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