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20세기 초 시조창에 관한 새로운 모색 ―가족 담론 시조를 중심으로― (New Study of Sijochang from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Family Discourse Sij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09
28P 미리보기
19세기 말~20세기 초 시조창에 관한 새로운 모색 ―가족 담론 시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61호 / 47 ~ 74페이지
    · 저자명 : 송안나

    초록

    18∼19세기 가곡창 문화권에서 가족 담론 시조는 조선 후기 풍류 문화에서 기존의 오륜은 물론, 다양한 가족 간의 일상과 갈등을 노래하며 전개되었다. 19세기 후반 가곡 문화권에서는 가곡 풍류객들이 유흥과 풍류를 선호하며 가족 담론 시조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고, 이로 인해 주류 가집에서 가족 담론 시조는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가족 윤리와 오륜의 가치를 다룬 작품들은 시조창 가집과 잡가집에서 지속적으로 전승되었으며, 이는 시조창 문화권이 가족 담론 시조의 주요 수용처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가족 담론 시조는 시조창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변형되며 지방의 시조창 가집에서 활발히 향유되었다. 특히 시조창 문화권에서는 작품의 개작과 새로운 창작이 이루어지며 가족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지속적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가족 담론 시조의 전승 배경에는 유연한 시조창의 연행 환경과 향촌 사회의 교양 담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조창은 가곡에 비해 연행의 요건이 덜 까다로워 지방에서도 폭넓게 향유되었으며, 사족 양반의 취미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
    시조창은 20세기 초까지 향촌 사회에서 교양의 상징물로 여겨졌으며, 가족 간 윤리와 교훈을 담은 노래를 수용하였다. 이러한 시조창 문화는 향촌의 보수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 고급 교양물로 자리 잡았다. 가곡이 도시의 전문 유흥 음악으로 남은 반면, 시조창은 가족 담론을 통해 향촌 사회에서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하며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

    영어초록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family discourse sijo within the gagokchang cultural sphere evolved by integrating traditional values of the Oryun (五倫) alongside diverse aspects of everyday family life and conflicts typical of the late Joseon period. By the late 19th century, the rise of gagok culture, which prioritized leisure and entertainment, led to a waning interest in family discourse sijo, resulting in its near disappearance from mainstream gagok collections. However, works reflecting family ethics and the Oryun (五倫) were preserved in sijochang and miscellaneous song collections, indicating that the sijochang cultural sphere became a key repository for these themes.
    Family discourse sijo underwent transformation and thrived within sijochang, especially in regional sijochang gagip (歌集). In this context, adaptations and new compositions were common, consistently reflecting family narratives. The lasting appeal of family discourse sijo can be attributed to the flexible performance environment of sijochang and the liberal arts traditions of rural society, which complemented each other. Sijochang was easier to perform than gagok, allowing it to be widely enjoyed in the provinces and establishing itself as leisure music among the aristocratic gentry.
    Up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sijochang was regarded as a symbol of refinement in rural society, particularly through songs promoting family ethics and moral teachings. Sijochang culture is considered an elite cultural element that thrived in the conservative rural social atmosphere. While gagok remained a form of professional entertainment in urban settings, sijochang developed as an independent cultural form in rural communities, serving significant social functions by engaging with family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