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이야기 속 「oni」의 우리말 번역 이대로 좋은가? - 문화소 번역의 관점에서 - (Is it good to translate Korean into 「oni」 of Japanese story? -Standpoint of cultural elemen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12
22P 미리보기
일본 이야기 속 「oni」의 우리말 번역 이대로 좋은가? - 문화소 번역의 관점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일본학 / 41권 / 185 ~ 206페이지
    · 저자명 : 정일영, 정의상

    초록

    여러 분야 학자들의 문제제기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광복 후 70여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의 도깨비로 둔갑한 일본의 oni 이미지를 털어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일제강점기에 덧씌워진 oni 이미지 때문만이 아닌, oni의 번역어 선택에도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구심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한국 도깨비와 일본 oni 사용의 혼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삼아, 논문의 2장에서 우리의 역사 속에서 도깨비라는 어휘가 등장하게 되기까지와 일제강점기 妖怪(鬼)가 도깨비라는 번역어로 등장하게 되기까지를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문화소 번역의 관점에서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는 oni의 번역어로 어떤 어휘들이 사용되고 있고, 번역가들은 일본 동화 속 oni의 번역어로 어떤 어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의 인터넷 웹 사이트와 일본 동화 번역서에는 권정생 선생이 우려했던 바와 같이 oni의 번역어로 도깨비나 귀신을 혼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 선택에 있어도 일관성이 없었으며, 글 쓰는 이나 번역하는 이의 의지나 식견에 따라 어휘 선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를 음차번역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매우 꺼리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지만, 우리의 도깨비와 일본어 oni의 혼용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음차번역을 통한 이국화 전략을 활용하여 일본어 oni를 한글 ‘오니’로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Despite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and efforts of many scholars, even after 70 years since the liberation, the reason why we have not been able to rid the public of the notion that the hobgoblin is Japanese is not only due to the oni image superimpo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in the choice of oni’s translated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that minimizes the confusion of the Korean hobgoblin and the Japanese oni use. In Chapter 2, we looked at usage of the word hobgoblin in our history until the appearance of hobgoblin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translation of hobgoblin.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Japanese translation ‘oni’ compared to the original Korean hobgoblin of the online, and the translators used the oni as a translation of Japanese fairy tale. As a result, on the websites and Japanese fairy tale translations, Kwon Jung sang teacher was worried about the translating oni as hobgoblin and ghost, and there were many inconsistencies in his choice. The choice of oni or hobgoblin changes according to the will or insight of the translator. It is our reality that we are reluctant to use Japanese translation as it is. However, in order to prevent confusing our hobgoblin and Japanese oni, we propose to use Japanese translation method to translate Japanese oni into Hangul ‘on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