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조대 말 여진 번호 로툰(老土)의 건주여진 귀부와 조선의 대응 (Submission of Boundary Jurchen, Lotun to Jianzhou Jurchen at the End of King Seonjo’s Reign and Joseon’s Respons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9
43P 미리보기
선조대 말 여진 번호 로툰(老土)의 건주여진 귀부와 조선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8호 / 7 ~ 49페이지
    · 저자명 : 장정수

    초록

    이 논문은 선조대 말 두만강 상류의 도르기 비라(Dorgi Bira, 內河, 東良北)에 거주하던 여진인 로툰의 향배를 통해 조선과 여진 번호, 건주여진의 관계를 고찰한 글이다. 16세기 말~17세기 초 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은 건주여진과 홀라온의 경쟁적인 초무와 공략에 직면하게 된다. 조선은 이 지역의 여진인들을 藩胡로 인식했던 만큼 이를 묵인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했다. 이들보다 세력이 약했던 여진 번호들은 자신들의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여진 번호의 향배 문제는 조선과 건주여진은 물론 그 後身에 해당하는 後金과 淸의 중요한 외교적 현안 가운데 하나였다. ‘와르카(Warka)’로 통칭된 두만강 유역 번호에 대한 管屬 문제는 후금 시기에 이르러 쇄환 요구 형태로 변화하여 1644년 청의 順治帝가 이를 면제해줄 때까지 계속되었다. 선조대 말 두만강 상류에서 발생한 조선과 건주여진의 외교적 갈등은 도르기 비라의 여진 번호 로툰의 거취와 관련되어 있었으며, 양측의 무력 충돌은 그 시작점이었다.
    이 글에서는 도르기 비라에 세거해온 로툰이 건주여진으로 귀부하게 되는 배경을 제시하고, 건주여진의 누르하치가 개입한 이후 조선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건주여진이 후금 시기인 1627년 조선을 침공하는 단계에 이르러서야 이때의 갈등 관계를 재론했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 1600년 조선과 건주여진 사이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은 당시에 외교적 문제로 비화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양측의 관계에 균열을 일으킨 직접적인 계기의 하나였음을 규명하였다. 이는 여진 번호에 대한 인식 차에서 비롯된 조선과 후금, 청의 외교적 갈등이 건주여진 시기에 이미 배태되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s of Joseon with Boundary Jurchens and Jianzhou Jurchen through the attitude of Jurchen Lotun that resided in Dorgi Bira at the upstream of Tumen River during the end of King Seonjo’s reig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Jurchens in the Tumen River basin encountered the competitive appeasement and attack of Jianzhou Jurchen and Hūlun. Since Joseon recognized the Jurchens in this region as Boundary Jurchens, it could not overlook that, which caused a conflict, accordingly. The Boundary Jurchens who were relatively weak, had to search their own way to survive.
    The problem of the Boundary Jurchens’ attitude was one of the important diplomatic issues of the times for not only Joseon and Jianzhou Jurchen but also Latter Jin and Qing, which were its future beings. The issue of the submission of the Boundary Jurchens in the Tumen River basin commonly called ‘Warka’ turned into a form of a request for entering the Latter Jin period and continued till the Shunzi Emperor of Qing exempted this in 1644. The diplomatic conflict between Joseon and Jianzhou Jurchen, which occurred in the upstream of Tumen River at the end of King Seonjo’s reign wa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Jurchen, Lotun of Dorgi Bira, and the armed clash between the two was the starting point.
    This study suggested the background of the submission of Lotun that had resided in Dorgi Bira for generations to Jianzhou Jurchen and examined how Joseon responded after the intervention of Nurhaci of Jianzhou Jurche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ason why this incident was discussed again only when Jianzhou Jurchen invaded Joseon in 1627, during the latter Jin period. This incident did not turn into a diplomatic issue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but internally, it was one of the momenta that created a fra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means that the diplomatic conflicts among Joseon, Latter Jin and Qing caused by thei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bout Boundary Jurchens was already germinated during the Jianzhou Jurche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