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무로마치 막부의 외교적 해명에 등장하는 포도(逋逃)와 고려 말 왜구 (Waegu of the Late Goryeo Dynasty and Muromachi Bakuhu’s Diplomatic Explanation Podo(逋逃))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8
31P 미리보기
일본 무로마치 막부의 외교적 해명에 등장하는 포도(逋逃)와 고려 말 왜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70호 / 233 ~ 263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최근 일본학계에 의한 왜구 연구의 문제점은, 왜구 문제를 논하면서 해당 시기 일본 국내 정세, 특히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규슈 지역 군사 정세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점이다. 오히려 일본학계는 왜구 발생 배경 및 그 실체를 고려(조선)의 국내정세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기존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무로마치 막부가 고려 우왕 3년인 1377년에 언급한 ‘포도’라는 용어에 주목해 보았다.
    고려에 왜구 침구가 가장 극심했던 1377년 6월, 고려에서는 안길상을 일본에 파견하여 항의했다. 이에 무로마치 막부는 고려에 침구하는 왜구의 실체를 가리켜 ‘포도(逋逃)’, 즉 막부의 체포를 피해 도주한 무리라고 해명했다. 이는 당시 일본의 국내정세와 관련하여 고찰할 때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는 일본의 공식적인 외교문서에 나타난 ‘포도’라는 용어를, 일본의 내란이라는 당시 시대적 배경과 관련지어 왜구발생의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규슈에서 내란이 발생하고 그 내란에서 패한 무리들이 공권력(막부)의 체포를 피해서 대마도로 도주한 후, 그곳을 근거지로 하여 한반도로 침구한 것이 당시 왜구였다.
    한반도로 침구한 모든 왜구를 ‘포도’라는 용어로 다 설명할 수는 없지만, 고려 말 조선 초 시기에 발생한 왜구 중에는 이와 같이 규슈의 내란에서 촉발된 ‘포도’의 사례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blem with recent Japanese studies on Waegu is that they do not consider its correlation with the domestic situation in Japan, especially the military realia in Kyushu, which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Korean Peninsula. Japanese academia is looking for the background and substance of the occurrence of Japanese pirates from the domestic situation of Goryeo (Joseon). To overcome this existing perception,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term ‘Podo’ mentioned by the Muromachi Bakuhu in 1377, the third year of King Woo of Goryeo.
    In June 1377, when the Japanese invasion was the most severe in Goryeo, Goryeo dispatched An Gil-sang to Japan asking for an explanation. In response, Muromachi Bakuhu explained that the reality of Japanese pirates invading Goryeo was ‘Podo’, which means a group that fled the arrest of Bakuhu. This has great implications when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in Japan at that time.
    This paper examined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of Japanese pirates in relation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of Japan’s civil war, when the term ‘Podo’ appears in official diplomatic docum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mmonalities could be found. Whenever the civil war broke out in Kyushu, the groups that lost the civil war fled to Daemado Island to avoid arrest, and then from there they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not all Japanese pirates that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Podo’, many of the Japanese pirates that occurr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cluded cases of ‘Podo’ triggered by the Kyushu civil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