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 오른손잡이, 망치질 - 상징화 능력에 대한 진화기호학적 연구 - (Speech, right - handedness, hammering - studies of evolutionary semiotics on symbolization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말, 오른손잡이, 망치질 - 상징화 능력에 대한 진화기호학적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47권 / 237 ~ 267페이지
    · 저자명 : 윤성노

    초록

    본고는 일반 진화론 논쟁을 배경으로 기호학, 진화인류학, 뇌과학, 동물행태학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함으로써 상징화 진화의 문제를 다루는 데 목표를 둔다. 먼저 ‘엄격한’ 구조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대 언어 인식론에서 생태-진화론적 패러다임이 부상하는 배경을 소개하며, 이런 지적 지형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왜 바이러스로서의 언어 개념이 필요한지 설명한다. 그런 다음 초기 인류가 상징능력을 갖게 된 주요 분기점들을 검토하고, “고정 지시”와 “생산적 지시”라는 두 단계로 나누어 그 진화 과정을 기술한다. 아울러 침팬지들은 왜 사람과 있을 때에만 지시행위를 하는지 그리고 지시할 때 왜 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오른손 선호와 대뇌 외측화 그리고 도구 사용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논한다. 마지막으로 거울 뉴런, 언어/몸짓 정보 처리 관련 인지 모델, 소통의 신경-생물학적 토대 등을 토대로 정신이 어떻게 몸의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지, 그리고 손이 어떻게 말로 이어지는지 설명한다. 결론부에서는 이기적 유전자 이론을 비판하고 관심 조율 장치로서의 세미오시스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진화의 관점에서 비언어기호는 언어기호만큼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따라서 모국어 습득 과정에 대한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purports to deal with evolution of langage which is to be human-specific as well as universal communicative capability. in reviewing results of researches such as semiotics, evolutionary anthropology, brain science, ethology on the background of general evolutionary debate. For that matter, we begin to show limits of the 'rigid' structuralism and explain why the evolutionary research paradigm actually appears in the field of linguistics. This gives us an opportunity to argue for the notion of language as virus. We then talk about principal moments of evolution of symbolization on the basis of two type of reference(fixed reference and productive reference) It is also interesting for us to show why chimpanzees indicate by right hands when they are with human but not with their animal companions. This theme of animal communication provides us with an occasion to discuss relations among right-handedness, cerebral lateralization, and tool-making. In parallel we deal with themes such as mirror neurons, primary iconicity, cognitive models of language/gesture, neurolog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support that mind comes from body and speech from hands. We finally close the present paper in criticizing the selfish gene theory and in maintaining the necessity for studying semiosis as device of mutual adaptation of at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