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기 마이오세 말 이후 울릉 분지 남서 연변부 퇴적층의 구조-층서 진화 (Tectono-stratigraphic evolution of the SW margin of Ulleung Basin since the late Middle Miocen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8.06
18P 미리보기
중기 마이오세 말 이후 울릉 분지 남서 연변부 퇴적층의 구조-층서 진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44권 / 3호 / 241 ~ 258페이지
    · 저자명 : 정치목, 황인걸

    초록

    탄성파 자료의 해석을 통해 중기 마이오세 말 이후 동해 울릉분지 남서연변부 퇴적층의 구조-층서 발달을 고
    찰하였다. 연구 지역은 후기 마이오세의 횡압력 작용에 의한 구조 변형 정도에 따라 남동부의 변형대와 북서부
    의 비변형대로 구분된다. 변형대 지역에서의 융기 활동은 침식 작용을 수반하여 부정합면을 형성하였고, 침식
    된 퇴적물을 비변형대 지역에 퇴적시켰다. 연구 지역의 퇴적층은 변형대에 분포하는 부정합면과 반사면 배열로
    부터 총 6개의 퇴적 단위로 구분된다. 후기 마이오세(?12.5 - 6.3 Ma)의 횡압력 작용 기간에 형성된 퇴적 단위 I,
    II, III은 변형대 지역에 분포하는 3개의 침식부정합면으로부터 인지된다. 퇴적 단위 I과 II 사이의 침식면은 변
    형대의 북동쪽에서 형성되었으며, II와 III의 침식면 및 III과 IV의 침식면은 변형대 중앙부와 남서쪽에서 각각
    발달하였다. 퇴적 단위 I의 퇴적 중심지는 북동쪽의 대륙붕단이며, 퇴적 단위 II, III에서는 남서쪽의 내대륙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연안-대륙붕, 대륙붕-대륙사면을 지시하는 탄성파상의 경계는 북동 방
    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변형대내에 분포하는 3개 침식부정합면의 발달 위치가 시기별로 점차 남
    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퇴적 중심지 역시 남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횡압력 작용 기간 후기
    로 갈수록 변형대 남서쪽에서의 융기가 활발해지고 다량의 퇴적물이 공급되면서 연안-대륙붕의 경계 및 대륙
    붕-대륙사면의 경계가 북동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기간의 퇴적 단위 IV,
    V, VI의 분포 양상은 연구지역 중앙에 발달하고 있는 배사 만곡부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배사 만곡부는 퇴적
    단위 IV의 퇴적 이후에 융기하였고, 대륙붕내에 낮은 기복을 갖는 소 분지를 형성하였다. 퇴적 단위 V는 이 소
    분지를 충진하는 퇴적 양상을 보인다. 퇴적 단위 V가 소 분지의 기복을 채운 후에 퇴적 단위 VI는 배사 만곡부
    의 정부를 제외한 대륙붕 전 지역에 균일하게 퇴적되었다. 플라이오세 후기의 분지 퇴적 환경은 상당히 안정되
    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배사 만곡부의 융기와 연구 지역 북동, 남서부에서 소규모 정단층 작용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지만 전체적인 퇴적 양상을 변화시키기에는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were interpreted to reveal structural and stratigraphic developments
    of the late Middle Miocene to Holocene succession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Based on the density of deformational structures such as thrust faults and folds,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southeastern deformed zone and northwestern undeformed zone. Uplift and coeval erosion created pronounced
    unconformities in the defomed zone and allowed large amounts of sediments to accumulate in the undeformed
    shelf region. Depositional units I, II, and III are recognized in deformed zone based on three erosional unconformities
    formed by regional compression during the Late Miocene (?12.5 - 6.3 Ma). Erosional areas marked by the unconformities
    progressively migrated southwestward. Depocenter of individual depositional unit (I, II, and III) also
    migrated from the northeast to the southwest. On the other hand, seismic facies boundaries between neritic and
    shelf, and shelf and slope moved northeastward (basinward). The sequential transition of erosional areas, depocenter
    and seismic facies of each unit suggests that uplift and corresponding erosion in deformed zone occurred progressively from the northeast to southwest. High rates of sediment supply from the uplifted region are responsible
    for the northeastward migration of seismic facies boundaries. Depositional units IV, V, and VI, formed during the
    PlioPleistocene, have a close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the anticlinal flexure. The anticlinal flexure uplifted after
    the deposition of Unit IV, forming a small-scale basi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present shelf area. Deposition
    of Unit V was confined within this small basin. After filling the small basin, Unit VI was deposited in the entire
    shelf region except for the crest area of the anticlinal flexure. The Late Pliocene deformation had been quite stable.
    Uplifting of the anticlinal flexure and normal faulting in the northeastern and southwestern parts of the study area
    are still active. The tectonic movement, however, is insufficient to change the overall depositional patt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