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송 말(北宋 末)-남송 초(南宋 初)의 소경(小景)과 소경화(小景畵) (Xiaojing Paintings of the Late Northern Song and Early Southern Song Perio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12
27P 미리보기
북송 말(北宋 末)-남송 초(南宋 初)의 소경(小景)과 소경화(小景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51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박은화

    초록

    북송 초기에 활동한 시승화가(詩僧畵家)인 혜숭(惠崇, 약 965-1017)이 시작했다고 알려진 소경은 1074 년경 편찬된 곽약허의 『도화견문지』에 처음 언급되었고 1121년경 편찬된 『선화화보(宣和畵譜)』와 1167 년경에 완성된 『화계(畵繼)』에는 화목의 하나로 분류되어 수록되었다. 따라서 소경은 오대나 북송 초에새로운 회화형식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고 북송 후기에서 남송 초에 새로운 화목으로 정착되고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전의 기록에 없는 새로운 화목의 등장은 당시 화단의 상황 및 회화 제작과 감상의변화 양상을 반영한다. 특히 『선화화보』와 『화계』가 편찬된 북송 말에서 남송 초에 이르는 시기는 중국회화사상 커다란 전환기에 해당하여 산수화, 화조화, 인물화의 주제와 표현양식, 화풍이 다양해지고 회화창작의 배경, 화가들의 활동 양상에서 큰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회화이론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화론(畵論)과 화사(畵史)에 대한 저록이 크게 증가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새로운 화목으로 대두된소경은 당시 회화의 변화양상을 반영하는 회화형식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현존작품과 문헌기록을 통해 소경의 의미와 소경화가 독립된 화목으로 발전하게 된 배경을 파악하고 송대 회화에 대한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소경화의 성격 및 특징이 북송 후기에서 남송 초에 이르는 시기 회화의 양식적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고찰하여 송대 회화의 전개와 흐름에서 소경이 차지하는 위치를 규명하였다.
    소경은 커다란 경관을 그린 대관산수화나 전경식 화조화에 비해 작은 범위의 취경(取景)이나 취상(取 象)에 의한 경관의 묘사를 의미하며 처음에는 개념이 엄밀하게 규정되지 않았지만 점차 작은 크기의 화면에 물가의 경관을 배경으로 각종 수금(水禽)과 화목(花木), 죽석(竹石) 등의 제재(題材)를 근경 위주로묘사해 멀리 아득하며 맑고 담박한 의경(意境)을 표현한 새로운 회화형식으로 발전하였다.
    소경은 북송 말기 산수화와 화조화의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던 시기에 나타났으며 구양수(歐陽修), 문동(文同), 소식(蘇軾), 황정견(黃庭堅), 미불(米巿) 등 문인들이 제시한 ‘서화일률론(書畵一律論)’을 비롯한 문인화의 이론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화면에 산수 경물과 화조화의 요소를 함께 도입하고 문인들이추구하던 시적 정취나 문인적인 정서를 화면에 담아낸 소경에 대한 인식과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대관산수화(大觀山水畵)나 전경화조화(全景花鳥畵)와 구별되는 회화형식으로 부각되었다. 또한 문인들의강남회화에 대한 관심의 고조, 화조화의 발전 및 화첩과 선면화의 유행도 소경화의 제작이 성행하는데큰 작용을 하였다. 한편 소경은 화가와 그림, 관화자(觀畵者)가 교감하는 시정(詩情)의 표출로 새로운 화경(畵境)을 추구하여 문인계층을 중심으로 높이 평가되고 감상되었고 수많은 제화시(題畵詩)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나아가 문인들과 가깝게 교류하면서 소경화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던 종실화가들, 문인들이주도한 회화의 새로운 경향에 주목하고 그들의 회화관을 궁정회화의 지도이념으로 수용한 휘종의 영향으로 화원화가들도 소경화를 활발하게 제작하면서 소경은 하나의 화목으로 대두되었다.
    현존작품에 나타나는 소경화의 특징은 소경을 그린 대표적인 화가로 알려진 조령양의 화풍으로 수렴되어 소경화의 전형적인 양식이 형성되었으며 후대에 계승되어 명(明)·청대(淸代)에는 방고(倣古)의대상이 되는 중국회화의 중요한 전통으로 남게 되었다.

    영어초록

    Xiaojing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intimate scene, began to be painted by the monk poet-painter Huichong(c.965-1017) during the early Northern Song period. It first recorded in the Tuhua jianwenji by Gou Ruoxi in 1074, and appeared as one of the painting categories in the Xuanhe huapu compiled in around 1120 and Huaji by Deng Chun completed in 1167. The twelfth century when the xiojing painting became popular and widely appreciated, marks one of the turning points in Chinese painting history, and the appearance of new painting category reflects the changes in production and appreciations of painting during the time.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xiaojing and examines the social, cultural, intellectual background behind the development of xiaojing painting, and impact of the painting style on later period through the literary and visual evidences.
    Xiaojing appeared when the monumental landscape style and full-scale bird-and-flower painting which prevailed among the court painters of the Northern Song reached its peak during the reigns of emperor Shenzong(1067-1085) and Zhezong(1086-1100), and painters began to look into new directions in stylistic and technical mode.
    Northern Song literati found the Southern Tang(937-975) painting style described the tender, muted scenery with flora and fauna of the southern Chinese region more appealing to their aesthetic temperature and highly evaluated the innate quality of xiaojing painting as the embodiment of literati tradition in which verbal and pictorial images interact and enrich the meaning of the art work. Thus the emergence of xiaojing related to the evolvement of literati painting theory formed by Su Shi and his circle, who considered the practice of painting as a means of private expression and personal interaction. The development of bird-and-flower painting and the increasing use of album leaf and fan painting format also influenced the popularity of the genre.
    Emperor Huizong’s support for the theory of literati painting consistent with the ideas of literati artist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n political opinions accelerated the emergence of xiaojing and wide acceptance among professional painters of the academy, as well as the aristocratic and literati painters alike.
    Xiaojing paintings depicted the various kinds of flowers, birds, and trees in waterside landscape setting focused on near ground, became intimate in scale, yet spatially expansive with an emphasis on seasonal, temporal atmospheric mood and pictorial unity. The simple, almost mundane scenes marked a vivid contrast to monumental landscape painting and large scale bird-and-flower painting, and convey a visual and emotional intimacy with poetic appeal to the viewers.
    Stylistic comparison of xiaojing painting with other Northern Song examples clearly shows technical and stylistic changes that occurred in painting during the twelfth century. By exchanging the immeasurable vastness of composition for a more limited, more intimate view and exploring new brush and ink technique for depicting pictorial motifs, xiaojing painting provided the stylistic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uthern Song styles of landscape, bird-and-flower painting, and formed a painting tradition continued to inspire later painters as one of the sources of fanggu, imitating old styles.
    Therefore, close study of the xiaojing which came to be appreciated and recognized as an important genre of Chinese painting would shed more light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ng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