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말 청화백자에 장식된 외국산 직물 문양의 연원과 유입과정 (Origin and Influx of Foreign Fabric Patterns in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06
32P 미리보기
조선 말 청화백자에 장식된 외국산 직물 문양의 연원과 유입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1권 / 2호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장효진

    초록

    조선 말 19세기경 제작된 청화백자의 문양 장식 가운데 외국산 직물 문양으로 보이는 것이 있다. 만자문, 수파문, 귀갑문, 동전문 등 여러 기하학 패턴이 그러하다. 이들 직물 문양은 각종 백자의 넓고 편평한 기면 위나 보조문양대의 위치에 시문되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각종 직물 문양을 중국과 일본, 유럽 등 외국 도자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조선 말 청화백자에 나타난 각종 직물 문양은 외부와의 교류로 새롭게 나타난 외래 요소로 보여진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연원과 전파 과정을 살피기 위해 먼저 중국에서 직물 패턴이 각종 공예품에 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물 패턴이 그려진 화보나 경전이 널리 유통되면서 각종 공예품 제작에 참고가 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 제작자가 지역 간에 이동하거나 시대에 따라 생산 체제가 변화되며 문양이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확인했다. 한편, 명·청대 제작된 수출용 자기에 각종 직물 문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점이 주목되었다. 경덕진에서 유럽 수출용으로 제작된 크락자기와 일본 수출용으로 제작된 오채자기 및 숀즈이[祥瑞]에 두드러졌는데, 이러한 현상은 외부 수요자의 취향과 결부된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선 말 청화백자에 나타나는 직물 문양의 계통을 추적했다. 실물 자료의 비교 검토를 통해 조선 말에 동시대 일본 도자의 장식 경향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더불어 16세기 이후 중국과 일본의 도자 교류로 형성된 요소들이 일본에서 지속적으로 모방, 재창조 되다가, 차후 19세기경 조선에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 글은 직물문양을 통해 조선 말기 백자에 나타나는 외래 양식의 다양한 계통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조선 말 청화백자를 동아시아 도자교류사적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서 동아시아 도자사에서 조선 백자가 가지는 위치를 확인해 봄에 의의를 두고 있다.

    영어초록

    Among the patterns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fabric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ound the 19th century, there are some foreign fabric patterns such as swaskika, wave, hexagonal, and coin patterns. These fabric patterns usually appear on the wide and flat surface of various white porcelains or in the positions of supplementary patterns. They can be easily found in foreign ceramics such as China, Japan, and Europe. Therefore, various kinds of textile patterns shown in white porcelain from the Joseon period are seen as foreign elements newly adopted from exchange with other cultures in the ceramic field. To examine their origins and transmission process, research in this paper focuses first on the fabric patterns found in various Chinese craf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fabric patterns were widely circulated in illustrations and scriptures, and became reference to produce various artifacts. It has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roducers’ mobility from one place to another and change in the produc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spurred the spread of the pattern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noted that various patterns of fabrics are prominently displayed on porcelains produced for export in the Ming and Qing periods. They are often found in porcelains made at Jingdezhen for export to Europe and Japan, such as Kraak, wucaiciqi(五彩瓷器) and shonzui porcelain(祥瑞瓷), implying their association with the taste of outside consumers. Particularly, the circle of the Japanese tea ceremony, which favored Chinese-made fabrics, seemed to be able to reflect their taste of patterns in porcelain when they placed a large amount of ceramics order to China.
    Finally, the textile patterns have been traced in the Joseon blue and white porcelain. A comparative study of actual materials confirms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decorational trend of Japanese ceramics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also confirms that the elements formed by exchanges in ceramics between China and Japan after the 16th century continued to be imitated and recreated in Japan, which might have then flown into Korea during the 19th century.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rough the fabric patterns various schemes of foreign style appearing in white porcelai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t is also meaningful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Joseon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East Asian ceramic history by addressing it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eramic exchange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