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중고기 말․중대 초 縣制의 실시와 지방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yun System and the Local Managemet in the Late of Middle Ancient Period and the Beginning of the Middle Period of Sill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신라 중고기 말․중대 초 縣制의 실시와 지방관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8권 / 255 ~ 284페이지
    · 저자명 : 전덕재

    초록

    본 논고는 縣制의 실시 시기, 郡 太守의 파견 시기, 州의 長官 명칭의 변화, 州의 屬官 등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신라는 642년 대야성전투에서 패배한 이후에 고구려와 백제와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행정촌(성)의 田丁, 즉 토지와 호구 등을 조사하여 군․현으로 재편하고, 郡治에는 太守를, 현에는 縣令 또는 小守를 파견하기 시작하였으며, 신문왕 9년(689) 무렵에 전국에 걸쳐 郡․縣制를 확대하였다. 문무왕 3년(663)에 당나라에서 문무왕을 雞林州大都督에 책봉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신라에서 주의 장관을 都督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신문왕 5년(685)에 6停體制를 새롭게 정비하여 각 군단 사령관을 摠管이 아니라 將軍이라고 부른 사실 및 삼국통일전쟁 중에 대규모 정벌을 위해 임시로 州 단위로 행군군단을 편성한 다음, 복수의 인물을 ‘~州摠管’ 또는 ‘~州行軍摠管’에 임명한 관행 등을 고려하여, 州의 長官을 총관이라고도 부르기 시작하였다. 이후 신라에서 한동안 주의 장관을 총관 또는 도독이라고 부르다가 원성왕 원년(785)에 주의 장관을 오로지 都督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신라는 문무왕 5년(665)부터 주에 도독을 보좌하는 屬官으로서 州助와 長史를 두었다고 추정되고, 헌덕왕 14년(822)에서 문성왕 4년(842) 사이에 당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 州助를 別駕라고도 불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im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yun system (縣制), the time of dispatch of the Gun Taesu (governors; 太守),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Ju (州)'s minister, and the Ju minister's subordinates (屬官). After the defeat in the Daeya-Castle Battle in 642, Silla investigated the land ownership scale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s (castles) located on the border area between Goguryeo and Baekje and reorganized them into Gun and Hyun. Silla also began to dispatch Taesu to Gun and Hyunryeong (縣令) or Sosu (小守) to Hyun. Around the 9th year of King Sinmun(689), the Silla government expanded the Gun․Hyun system across the country. In the 3rd year of King Munmu (663), King Munmu was appointed as Gyerimju-Daedodog (雞林州大都督) by the Tang Dynasty, and this was when Silla began to call the Ju's minister as Dodog (都督). In the 5th year of King Sinmun (685), Silla newly organized the 6-Jeong (六停) system and started to call Ju minister as Chonggwan (摠管)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mmander of each corps was called a general (將軍) instead of a Chonggwan and the practice of appointing multiple people ‘~Ju-Chonggwan(~州摠管)’ or ‘~Ju- Haenggun-Chonggwan(~州行軍摠管)’ after organizing marching corps by states temporarily for large-scale conquests during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Afterward, in Silla, the Ju's minister was called the Chonggwan or Dodog for a while, but in the 1st year of King Wonseong (785), Silla stipulated the Ju's minister to be only called as a Dodog. It is estimated that Silla had Jujo (州助) and Jangsa (長史) as assistants to Dodog from the 5 years of King Munmu (665), and Jujo was also called as Byeolga (別駕) between the 14th year of King Heondeok (822) and the 4th year of King Munseong (842),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of the Ta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