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일제강점기 천도교의 사회복지활동 -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Cheondogyo during the Korean-Japanese Colonial Period : With a focus on educational activit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한말·일제강점기 천도교의 사회복지활동 -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72호 / 307 ~ 341페이지
    · 저자명 : 성주현

    초록

    이 논문은 한말부터 1920년대에 이르는 천도교의 교육활동을 사회복지의 개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복지’를 강조하고 있으며, 일상생활과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확대하고 있다.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가난의 원인을 개인에게두었다. 부지런하면 잘 살고, 그렇지 못하면 가난을 면치 못한다는 인식이 컸다. 그렇지만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체제가 확립되면서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고 노동자의 열악한 생활환경 문제들이 대두되면서사회단체, 종교 등의 지원이 시작되었고 나아가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중의 하나가 교육이다.
    한말 천도교 최고책임자 손병희는 교육은 나라를 문명하게 할 수 있는 토대라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손병희는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는학교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귀국한 손병희는 교육을 담당하는 서울과 지방의 학교에 보조금 등을 적극 후원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영향으로 전주, 고원, 안악, 북간도 등 지방에서도 학교를 설립하거나 인수하여 교육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천도교는 일제강점 이후에서 지방 조직을 통해 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일제의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제한된 교육정책과 낮은취학률, 3·1운동 이후 고조된 조선인의 향학심과 교육열은 천도교에서도 학교와 강습소 설립, 야학 개설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들학교는 입학난으로 인한 무산아동, 무산청년, 경제적 여력이 없는 계층을 대상으로 근대문명 지식을 교육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천도교의 학교와 강습소 설립, 야학 등 교육활동은 교세를확장하려는 것보다는 당시 조선사회에서 고조되고 있는 향학열, 교육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있다. 특히 무산아동, 무산청년, 경제적 여력이 없는 계층을 대상으로교육활동은 넓은 의미에서 빈민구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천도교는 일제강점 이후에서 지방 조직을 통해 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일제의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제한된 교육정책과 낮은취학률, 3·1운동 이후 고조된 조선인의 향학심과 교육열은 천도교에서도 학교와 강습소 설립, 야학 개설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들학교는 입학난으로 인한 무산아동, 무산청년, 경제적 여력이 없는 계층을 대상으로 근대문명 지식을 교육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천도교의 학교와 강습소 설립, 야학 등 교육활동은 교세를확장하려는 것보다는 당시 조선사회에서 고조되고 있는 향학열, 교육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있다. 특히 무산아동, 무산청년, 경제적 여력이 없는 계층을 대상으로교육활동은 넓은 의미에서 빈민구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Cheondogyo from the end of Joseon Dynasty to the 1920s from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Today, more than ever, modern society emphasizes ‘social welfare’ and is expanding it to various fields such as daily life and education. In the past, in traditional society, the cause of poverty was placed on individuals. There was a great perception that if you are diligent, you will live well, otherwise you will face poverty. However, as the capitalist system was establish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idened and workers’ poor living conditions emerged, support from social groups and religions began, and the state’s active intervention and coordination were required. Education is one of them.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ohn Byung-hee, the chief executive of Cheondogyo, said that education is the foundation for civilizing the country. In addition, Son Byeonghee recognized the school in charge of the function of education as important. Accordingly, Son Byung-hee, who returned from Japan, actively supported subsidies to schools in Seoul and local regions in charge of educ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se activities, local governments such as Jeonju, Gowon, Anak, and Bukgando established or took over schools to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Cheondogyo actively carried out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local organizations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The limited educational policy for the colonized Koreans of Japan, the low enrollment rate, and the Korean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education, which increase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used various methods in Cheondogyo,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training centers, and the opening of night schools. These schools attempted to educate knowledge of modern civilization to Musan children, Musan youth, and those who cannot afford it due to the difficulty of admission.
    It can be sa id that educat iona l act iv it 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training centers, and night schools of Cheondogyo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at actively responds to the growing enthusiasm for learning and education in Joseon society at the time, rather than trying to expand the teaching force.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correspond to relief for the poor in a broad sense, especially for children without education, young people without education, and those who cannot afford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