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말청초 중국 소설에 드러난 경계적 공간으로서 조선의 형상화 (Description of Joseon as a border spac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period chinese novel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11
36P 미리보기
명말청초 중국 소설에 드러난 경계적 공간으로서 조선의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1권 / 81호 / 217 ~ 252페이지
    · 저자명 : 권대광, 오자봉

    초록

    이 글에서는 명말 청초 중국 소설에서 보이는 조선에 관한 관심을 탐구하였다. 당시 중국과 조선은 문인들의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에 대한 실체적 인식을 서사에 담아내지 못했다. 또, 문화교류가 지배계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탓에 중국 소설의 주요 창작 계층은 조선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고 있지 못했다. 이 때문에 조선에 대해 제한적으로 알려진 피상적인 정보를 활용해 조선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소설 속 조선은 배타적 화이론의 관념적 틀 안에서 그려지며, 중화의 주변국이자 문명 개화의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지만, 여전한 야만성을 지니고 있는 공간으로 그려짐으로써 소설 속에서 경계적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 조망했던 네 작품 중 <無聲戱>, <女仙外史>, <閱微草堂筆記>에는 조선이 등장한다. 의식적인 측면에서 이 작품들은 조선에 대한 중국의 우월의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李谪仙醉草嚇蠻書>에서 등장한 발해와 마찬가지로 이적의 무리 속에 조선을 위치시키고 있다. 조공 국가로서 조선의 실체를 국한하고, 조선인에 대한 배타적 시각을 소설 서사에서 제시함으로써 문화적 이질성을 거부했던 당대 소설 문화적 토양의 한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소설적 경향은 명말 청초 시기 소설작품들은 당대 청나라와 조선의 교류 관계와는 별개로 조선을 화이론적 세계관 속에 위치시키고, 환상적 공간으로 조선을 만들어 냈다. 당대 조선과 청나라 사대부들의 문화적 교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류는 동아시아의 연대를 이끌어 내는 사회적 담론으로 성장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perception of Joseon in Chinese nove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t that time, China and Joseon could not escape from the exchange centered on poetry and literature despite the continuous exchange of literary figures. Also, because cultural exchanges were centered on the ruling class, the creative classes of Chinese novels did not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Joseon. For this reason, they had no choice but to build an image of Joseon by using the limited known superficial information about Joseon. On the other hand, the Hwa-I theoretic worldview,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rame of China's traditional external perception, has been positioned as a primary tool for depicting the image of Joseon in the novel.
    Among the four works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Joseon Dynasty appears in <Museong-hi>, <Yeoseon-oisa>, and <Yeolmichodangpilgi>. From a ceremonial point of view, these works show China's sense of superiority over Joseon, and, like Balhae, which appeared in <I-jeokseon chuicho hyukmanseo>, places Joseon amid a gang of I, the outlanders. By limiting the reality of Joseon as a tribute state and presenting an exclusive perspective on Koreans in the narrative, we can see the limits of the cultural circumstance of the 17∼18c Chinese novel, which rejected cultural heterogeneity.
    This novel tendency in 17∼18c placed Joseon in the worldview of Hwa-I theory, independent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Joseon of the time, and created Joseon as a fantastic space. Despite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it seems that these exchanges did not develop into a social discourse that led to solidarity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