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 그 의미 (The Meaning and Extension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of Japanese in Busan at the End of the Daehan Empi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9.07
40P 미리보기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34호 / 237 ~ 276페이지
    · 저자명 : 김승

    초록

    부산의 제1기 상수도공사(1894. 6~1895. 1)는 1908년 8월 준공한 서울의 뚝도(纛島)수원지 제1정수장(경성수도양수공장)보다 앞선 시기에 축조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도시설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약 부산의 제1기 상수도공사를 근대 수도시설로서 규정하기에 공학적인 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면 늦어도 제1기 공사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여과시설과 배수시설의 확장, 송수관 및 배수관 등을 모두 철관으로 교체한 제2기 공사(1900. 1~1902. 1)는 한국 최초의 근대 수도시설로 파악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서울의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을 한국 근대 수도시설의 효시로 파악하는 학계의 입장은 정정되어야 할 것이다. 제2기 상수도공사는 인구 6천 명이 하루 사용할 수 있는 수도시설로 확장하였다. 여기에 들어가는 재원은 일본 본국으로부터 국고지원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거류민단 자체에서 재원을 해결해야 하였다. 부산의 제3기 상수도공사(1908. 4~1910. 9)는 제1, 2기 공사 때와는 달리 한국정부에서 35만원의 경비를 지원하였다. 이 지원금은 일본거류민단에서 제3기 공사를 위해 일본흥업은행으로부터 대부받은 117만원에 대한 이자상환금으로 충당되었다. 막대한 경비를 동원한 제3기 공사비의 62%에 해당하는 금액이 성지곡수원지공사(38%)와 배수관공사(24%)에 소용되었다. 제3기 공사는 예상했던 금액보다 21만원을 줄일 수 있었는데 이는 자재운반을 위한 소기관차를 이용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렇게 공사에 동원된 소기관차와 레일은 공사완료 후 곧바로 부산~동래간 경편철도로 재차 이용되었다. 따라서 제3기 공사는 단순히 수도시설의 확충에 그치지 않고 도시교통의 확장이란 결과를 낳았다. 이점이 도시개발이란 측면에서 다른 도시의 수도시설공사와 차별성을 갖는 제3기 공사의 또 다른 파급 효과였다. 이때 조성된 복병산배수지는 성지곡수원지와 함께 현재까지 부산을 대표하는 근대적 건축물로서 존속하고 있다.
    1911년 부산의 실제 수도사용호수는 전체 거주 호수 중에서 41.3%를 점했고 나머지 59%는 우물과 하천수를 이용하였다. 우물과 하천수의 사용호수 중 93%는 하수를 이용하고 나머지 7%는 우물을 이용했다. 부산에서 하천수의 이용비율이 이처럼 높았던 것은 서울과 비교했을 때 부산의 지형 자체가 해안선을 끼고 배후지가 좁은 지형적 특성 때문이었다. 1911년 부산의 수도보급비율 41.3%는 1912년 서울의 수도보급율 32.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한말 부산지역 수도시설의 그 내면을 보면 제3기 공사 당시 배수관이 설치된 대부분의 지역은 과거 초량왜관으로 개항 이후 일본전관거류지로 변경된 일본인 거주 밀집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형적 수도시설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한말 부산지역 수도시설의 혜택은 서울과 달리 재부일본인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제공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first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894. 6~1895. 1) in Busan may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rather than the first filtration plant in Seoul which was completed in 1908.
    If the first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in Busan is difficult to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because of technology, we can regarded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900. 1~1902. 1)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Because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done with the extension of filtration facilities and supply facilities of water, the change to an iron pipe.
    In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e new iron pipe which replaced the clay pipe and the iron pipe and the new supply facilities could make 6,000 people use water service for a day.
    Water supply charge(47,000won 54%), water service improvement and various kinds of taxation(25,448won 30%) were appropriated to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908. 4~1910. 9) in Busan was funded by the Korea Empire.
    62% of the cost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appropriated to the construction of Seonjigok reservoir(38%) and the construction of water pipe(24%). The cost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cut down by 21,000won because of a small engine for transport of materials. The small engine and rail used for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came to be used for the light railway from Busan to Dongnae.
    So,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resulted in the extension of the traffic facilities of city as well as the extension of water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in other city was urban development.
    The proportion of use of river in Busan wa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use of river in Seoul, which was owing to topography of Busan that had a small hinterland.
    The number of water service, 41.3% in Busan is higher than the number of water, 32.1% in Seoul in 1911.
    But the supply facilities equipped in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mostly set up in the Japanese settlement.
    Therefore, In spite of external extension of water facilities, the benefit of water facilities was mostly given to Japanese in Busan unlike in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