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高城 의병장 권형원의 의병투쟁과 단두 ‘釜煎’ 수난 (Anti-Japanese Activities and Crucifixion of Righteous Army Leader Kwon Hyeong-won at Goseong Region in Great Han Empire)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8
48P 미리보기
한말 高城 의병장 권형원의 의병투쟁과 단두 ‘釜煎’ 수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55호 / 5 ~ 52페이지
    · 저자명 : 박민영

    초록

    강원도 고성 출신의 권형원(1854~1907)은 향촌사회에 상당한 영향력과 권위를 행사하던 향반 가문 출신이었다. 1891년 고성민란 당시 그가 군수와 좌수 등 지배층과 연계되었던 것은 그의 가문이 지녔던 신분상 사회적 지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권위를 바탕으로 권형원은 1896년 2월 고성지역의 의병장이 되어 항일투쟁의 전면에 나섰다. 그가 고성 의병장으로서 전개한 활동은 주로 고성·간성 일대에서 수산자원을 침탈하던 일본 어부, 그리고 상권을 침탈하던 일본 상인 등을 단죄하는 것이었다. 3월 12일 고성 포구에서 일본 어부 4명을 체포하여 처단한 것을 비롯하여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상인의 화물을 압류한 것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권형원이 일제의 어업, 경제 침탈을 결코 좌시하지 않고 단호하게 단죄한 사실을 입증해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권형원이 1907년 의병전쟁에 참여한 사실은 구전 자료 외에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일본군에게 피살 순국하여 수난을 당한 사실을 염두에 둘 때 그 개연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962년 구술 자료에 따르면, 그는 1907년 고성을 비롯하여 통천·고성·간성·양양·강릉 등 5개 군의 의병 ‘총참모’로서 수개월 동안 일제 군경을 상대로 10여 차례 항일전을 벌였다. 하지만, 그는 10월 20일 벌어진 고성 남강전투 직후 일본군에 의해 피살 순국하였다. 이러한 정황은 일본군 정보기록에서 그날 350명의 의병이 고성읍을 습격하여 현지 일본군 분견대와 치열한 교전을 벌였다는 대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순국 후 권형원의 시신은 일본군에 의해 무참히 유린되는 모진 수난을 당하였다. 일본군은 그의 시신에서 두부를 절단하여 고성 부근의 장전에서 가마솥에 넣고 삶았던 것이다. 구전 자료의 정황으로 보아 그의 수난 후 고성지방에는 이러한 참상이 널리 인구에 전파되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그의 수난 사실은 박은식의 명저 『韓國痛史』에도 기록되어 있어 그 신뢰도를 높여준다.
    그 뒤 권형원의 두골은 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강제 반출되었다. 권형원과 14촌 宗人인 권증원이 1930년 전후 일본 이와테의학전문학교 재학 시절 어느 신사에서 그 두골을 직접 목격한 증언을 통해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정황은 일본 홋카이도대학에서 전남 진도 출신의 동학군 두골을 방치한 사건 등에서도 방증된다.
    요컨대, 한말 의병전쟁에 참여하여 항일전을 벌였던 권형원의 순국 수난의 참상은 한국의 국권을 강탈하던 일본 군국주의의 야수적 속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히 충격적이다. 나아가 이는 또한 일제 침략으로 야기된 민족 수난의 고단한 형세와 참담한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라는 점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한국 근대사의 한 단상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Kwon Hyeong-won(1854~1907), born in Kangwaon Province, Goseong-gun, was from noble family that had great influence over the rural community. At the time of Goseong Civil Rising, he was involved with the community director. This facts prove his family’s social status. Therefore, with his reputation as respected community leader, Kwon Hyeong-won become commander of Righteous Army at Goseong region and forefronted anti-Japanese movement. As chief of Righteous Army, he focused on striking a blow to Japanese fishers and merchants who were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For example, he arrested and punished four Japanese fisher mans and seized Japanese merchant’s goods. These series of events demonstrate, Kwon Hyeong-won refused to become bystander over Japanese exploitation.
    There are no written documents exits that confirm Kwon Hyeong-won participated in 1907 Righteous Army movement (except for the oral tradition). However the fact that Japanese military inflicted cruel punishment on him, indicates the oral tradition sound plausible. According to oral evidence from 1962, He was commander in chief of Righteous Army of vast regions, including Goseong, Tongcheon, Ganseong, Yangyang, Gangreung. He carried out several attacks on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forces. The raid of 350 Righteous Army soldiers were recorded on the documents of Japanese dispatched squadron.
    Unfortunately Kwon was captured 25th of October, right after Battle of Goseong Nam-gahng river and executed. After he die, his body was brutally abused by Japanese. They decapitated his head from the “dead body”, put in the cauldron and boiled it. It seems that, this story has been famous among people of that region. In particular, this story is also appears on remarkable author Park Eunshik’s book Painful History of Korea which makes reliable evidence.
    After his execution, his bones were sent to mainland Japan. Kwon Jheung-won who is a relative of Kwon hyeong-won, visually confirmed the skull of former Righteous Army leader. Imperial Japan had hold Kwon’s skull in Iwate school of medicine and that of other Korean’s as well. Therefore, crucifixion of Kwon clearly shows viciousness of Japanese Imperialism as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