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 『매일신보』 소재 신년 현상 한시 연구 -칙제(勅題)를 중심으로- (A Study on Sino-Korean Poetry Contest in New Year in 『Maeil-Sinbo』 in the late Japanese Empire -focusing on ‘chikje(勅題)’-)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2
29P 미리보기
일제 말 『매일신보』 소재 신년 현상 한시 연구 -칙제(勅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5호 / 229 ~ 257페이지
    · 저자명 : 한길로

    초록

    본고는 신춘문예와 맥락을 같이하며 유지된 “신년현상한시”에 주목하며 전시체제기 한시 창작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이 강행된 시대적 상황은 ‘신년현상한시’에도 짙은 흔적을 남기고 있었는데, 일제는 신년 궁중행사인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 시행에 앞서 제시되는 ‘칙제(勅題)’를 『매일신보』의 신년 시제로 제시하며 조선인의 동참을 유도했다. 즉 조선인의 한시 창작 전통과 일본의 신년 행사를 결합하여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칙제라는 ‘천황의 성지(聖旨)’를 수용하도록 구조화하며 황민화를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획에는 대략 10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비교적 성황리에 진행되기도 했는데 지방의 하급관리나 유림 출신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이들 작품들은 지배층․저명인사․문단작가들에 한정되지 않은 일제의 전방위적인 ‘총동원’의 흔적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며 살아간 각 지역 보수 엘리트 인물들의 ‘식민지적 대응’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즉 일제는 ‘구체제적 인사’들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이 여전히 향유하고 있는 문예물인 ‘한시’를 하나의 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작성된 시들은 전시이데올로기를 ‘유교적 에토스’로 수용하고 있었고 전통적 ‘천하관’을 견지하며 ‘일본 신민’의 입장에서 세계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작품은 ‘봉공과 멸사’를 의무화하고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신화를 주입하려던 일제의 전시이데올로기와 근대기 한문맥의 왜곡된 결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ontext of Times when so-called ‘genocide policy’ is enforced left a heavy trace and the Japanese Empire induced Koreans’ participation proposing ‘chikje(勅題)’ as a subject for a poem, which is suggested before ‘Utakai Hajime(歌会始)’, an event in Royal Court in New Year, is started. In short, they combined Koreans’ tradition in cre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Japanese New Year’s event and aggravated Imperial Citizen Forming structuralizing Koreans in order to accept ‘a shrine of the Japanese emperor’, chikje(勅題), in the identical way with Japanese. Roughly more than 1,000 of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it went successfully. Most ‘winners’’ backgrounds were not identified and some identified ones were minor officials in the provinces or from Confucians. In other words, these people constituted creating class of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Japanese Empire and they took charge of ‘pro-Japanese’ Sino-Korean Poetry at this time. As a link, the Japanese Empire utilized Sino-Korean Poetry, a Literary Works that is still enjoyed as an instrument to make famous figures or writers‘ ‘words’ but also unknown ‘specific figures’ who are not well-known but work on all social standings include in a system. Poetry written in this background embraced the war time ideology as ‘the emotion of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and watched the world from a point of view of Japanese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In conclusion, these works directly show the skewed aspect of combination of the war time ideology and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in Modern times, which required ‘a public duty and devotion for the country’ and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indoctrinated the mythology, ‘Manseilgye(萬世一系)’.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