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20세기 전반 한국사찰의 조왕신앙과 조왕도 (A study on kitchen god belief and kitchen god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in Korea from the late 19th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06
23P 미리보기
19세기 말~20세기 전반 한국사찰의 조왕신앙과 조왕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8호 / 235 ~ 257페이지
    · 저자명 : 신은미

    초록

    전통적인 家神으로서의 조왕은 부엌에 모시는 신으로 집안의 길흉을 관장하고 가족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신이다. 그밖에 불씨를 지켜주는 존재로 火神의 성격을 부여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사회전반에 걸쳐 폭넓게 수용된 가신신앙이었던 조왕신앙은 조선후기 민간신격이 불교에 수용되던 상황과 맞물려 사찰에서도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 사찰에서 간행된 다양한 불서에 조왕경이 수록되기 시작하였고, 18세기 이후에는 신중도에서 산신과 함께 주요 권속으로 표현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조왕은 다른 여러 민간신앙의 주체들과 함께 조선후기에 불교에 수용되었고 특히 신중신앙과 결합하여 護法善神衆의 하나로 정립되었다. 신중에 편입된 조왕신은 산신을 비롯한 여러 토속신들과 함께 신중도에 등장하기도 하며, 19세기 말에는 독립된 불화로 조성되어 공양간에 봉안되기도 하였다.
    단독의 조왕도는 19세기말 이후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작례가 남아있으나 대부분 20세기 이후에 제작된 예들이 많았다. 이 중 사찰에 전승되고 있는 제작연대가 확실한 20여점의 조왕도를 중심으로 조왕도의 구성요소와 도상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왕은 대체로 머리에 관을 쓰고 제왕형 복식을 하고 있으며 얼굴에는 수염을 표현하였다.
    좌우보처로 담시역사와 조식취모를 거느리고 있고 배경커튼과 병풍을 둘러서 실내를 암시하는 형태로 그려졌다. 좌우보처의 성격은 17세기 <불설조왕경>에 나오는 다양한 조왕신들 중에서 ‘공미향신’과 ‘운목신’의 성격을 가진 ‘조식취모조왕신’과 ‘담시역사조왕신’이 『석문의범』에서 두 권속으로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왕을 상징하는 지물로 오행통, 붓과 종이, 홀 등이 있었고 이런 지물들이 조왕의 상징이 된 배경은 조왕의 성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raditional society, Jowang, the guardian spirit or the shamanic deity believed to reside in the kitchen has a power to control over fortune and misfortune as well as well-being and health of the family members. In addition to that, Jowang is the god of fire who keeps embers overnight.
    As one of the house spirit beliefs widely accepted by the people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Jowang belief was absorbed by the Buddhist temples when Korean Buddhism accommodated a diverse aspect of folk belief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Jowang Sutra appeared firstly through Buddhist literatures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and Jowang became a member of important spirits together with Sansin(Mountain-spirit) in Painting of the buddhist guardian dieites since the 18th century.
    Like many other folk belief agents, Jowang was amalgamated with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a conjunction with Buddhist guardian dieites belief allowed it to attain a rank of the divine guardian of the Dharma. Ever since it merged into Guardian deities, Jowang, along with Sansin(Mountain-spirit) and other folk deities, began to appear in Painting of the buddhist guardian dieites. In the late 19th century, it became a painting’s subject, having an independent status, and was enshrined in the Buddhist temple’s kitchens.
    Jowang-do, a single subject painting of kitchen god, was firstly made across the country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mostly made in 20th century. In this study, twenty pieces of Jowang-do whose year of production is specifically known, were carefully examined in terms of their composition and symbolic elements. Jowang wears a crown and majestic attires and has a be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