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한 말 전통적 동문 의식의 변화-차이나 중심에서 일본 중심으로 (Traditional Dong-moon and Its Modern Transform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2
30P 미리보기
구한 말 전통적 동문 의식의 변화-차이나 중심에서 일본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0호 / 39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영환

    초록

    ‘동문’은 본디 차이나의 한자 글자꼴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가리켰다. 본디 뜻은 거의 잊혀진 채 차이나와 같은 글자를 써야 한다거나, 중화 사상의 상징으로서 오랑캐가 중화를 모방하는 것을 뜻하거나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서는 차이나 중심의 천하 체제 등 넓어진 뜻으로 쓰였다. 조선이 훌륭한 글자를 만들고도 500년 동안 제대로 쓰지 않은 것은 차이나와 다른 문자를 쓰는 것은 동문에 어긋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런 동문 의식은 1876년 이후에도 외교 분야에서는 거의 그대로 남아 있었다. 고종 때의 과거제 폐지와 국문 조칙으로 이미 동문의 질서에 균열이 가고 있었다. 동문 의식이 『독립신문』과 같은 근대 매체에서 전면적으로 부정되었다. 근대적 교육 제도에서도 부분적으로는 국문 쓰기의 전통이 뿌리내렸다. 그러나 그 뒤로 동문 의식은 일본 중심의 개념으로 변화를 겪었다. 한자어를 한자로 적는다는 점에서 같기 때문에 동아시아 세 나라의 공통성을 동문으로 일컫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뜻의 출현이었다. ‘동문’이란 틀은 그대로 두고 내용은 일본 중심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렇게 보면 이 개념은 아직도 일부에서 말하는 한자 문화권이란 개념과 그 내용이 그다지 다름이 없어 보인다. 근대 이후 동문은 동아, 동종이라는 지역성과 인종주의가 동문과 결합하여 함께 나타났는데 차차 동문이라는 관념적 공통성은 동아, 동종이라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공통성에 자리를 내주고 뒤쪽으로 물러나게 된다. 또 한자 문화권 개념과 일치하여 동문은 이제는 거의 잊혀진 개념이 되었다. ‘동문’의 다양한 뜻은 하나의 개념이라기보다는 차이나 중심과 일본 중심의 두 다른 개념으로 다루는 것이 더 적절하다. 그렇지만 이 개념이 다양한 뜻을 가짐에도 차이나 또는 일본 중심의 제국주의적 질서를 정당화하는 중요한 개념 장치로 기능했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었다. 유교적 배경을 가진 지식인이 주 독자층이었던 [황성신문]이 동문동종의 아시아 연대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동양’ 속에 조선을 잊어버리는 동양주의에 대한 신채호의 비평은 적절해 보인다. 한글만 쓰기로 동문 의식을 청산하는 과제는 20세기 후반에야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Dong-moon(동문, 同文) originally meant standardizat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a, but its meaning is extended to include all barbarians around China use Chinese characters as writing system. It became Sino-centric conception as imitation of Chinse culture by Four Barbarians. In Chosun dynasty, most Neo-Confucian scholars conceived Korean alphabet as Eon-moon, script for vernacular, so they refused to use Korean alphabet as medium of intellectual activity. In foreign diplomacy, Korean alphabet was totally neglected until the decline of Chosun Dynasty in 1910. But in mass media an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utility and efficiency of Hangeul became clear and undeniable. The Independence(독립신문) criticized reverence of Classical Chinese, symbol of Dong-moon.
    Dong-moon became Pro-Japanese concept in modern East Asia as ideological propaganda to hide the imperialistic characteristics of Japan. The meaning of dong-moon transformed as Japan, Korea, China all use Chinese characters o represent words, probably common to three nations, originated from Chinese characters. The traditional concepton of Dong-moon combined with Dong-a(東亞), Same-race(同種), revealed its regional hegemony or racism against White Man. Modern Korean with Neo-Confucian intellectual background deeply immersed in Dong-a Dong-moon, Dong-moon-Same-race, particularly readers of Hwang-seong Shin-moon. The complete denial of Dong-moon was accomplished in late 20th Korea, that is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