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생명’의 개념 (The Notion of 'Life' in Michel Foucault's Les Mots et les Chos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9.02
22P 미리보기
미셸 푸코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생명’의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생명연구 / 11권 / 163 ~ 184페이지
    · 저자명 : 허경

    초록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1966년에 발표된 『말과 사물』(Les Mots et les choses)에서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지식의 고고학적 지층’이라는 문제를 다룬다. 푸코의 이러한 입론은 주어진 한 시대에 나타나는 ‘지식 배치의 공시적 구조’, 즉 각 시대의 에피스테메(épistémè)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푸코가 이의 입증을 위해 검토하고 있는 것은 서유럽의 16세기 이래 오늘에 이르는 노동(travail, work), 생명(vie, life), 언어(langage, language)라는 세 영역이다. 푸코에 따라, 각 시대의 에피스테메들을 일별해 보면, 16세기 말에 이르는 르네상스를 규정하는 유사성(ressemblance), 16세기 말 이래 18세기 말에 이르는 고전주의 시대의 표상(représentation), 18세기 말 19세기 초 이래 오늘에 이르는 근대의 역사(histoire)가 있다. 따라서 ‘생명’의 개념 역시 이러한 에피스테메들을 따라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에서 우리가 극도로 유의해야 할 점은 푸코가 역사를 관통하는 어떤 고정 불변하는 실체적 개념으로서의 생명 개념을 전제하고, 그것의 역사적 전개 혹은 변용을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푸코가 다루는 것은 실체로 가정되는 ‘생명’ 개념 자체의 어떤 역사적 전개가 아니라, 우리가 오늘 ‘생명’이라 부르는 어떤 무엇인가가 각각의 지식 고고학적 시기마다 구성되고 작동되는 방식들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이자, 각 시대 마다의 인식론적 배치들, 즉 에피스테메들이다. 결론적으로, 각기 르네상스, 고전주의, 근대를 대표하는 알드로반디, 린네 그리고 퀴비에 사이에 존재하고 있던 것은 말과 사물의 다른 질서, 상이한 에피스테메, 다른 담론의 질서였다. 그 사이에 변화한 것은 어떤 동질적인 혹은 생명 혹은 생물학 내에서의 변화가 아니라, 그것을 구성하고 작동시키는 인식론적 장(場) 혹은 배치 자체 곧 에피스테메의 변형이다. 이러한 정신은 푸코 자신의 다음과 같은 말 안에 잘 나타나 있다.

    “역사가들은 18세기 생물학의 역사를 서술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들은 18세기에는 생물학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 오늘날의 우리에게 지난 150년간 친숙해 온 지식의 형태가 이전 시대에 대해서는 무가치하다는 사실, 또 생물학이 인식되지 못했던 이유가 다름 아닌 생명이 그 자체로서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notion of life [la vie] in Michel Foucault(1926-1984)'s Les Mots et les Choses(1966) is crucial for the understanding of his thought in 1960's. In this book, Foucault deals with the birth of three major domains of science, political economy[labor], comparative linguistics [language] and biology [life]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Foucault proposes two major discontinuities since late Middle Age, that of middle seventeenth century between Renaissance and the Classical Age, that of late eighteenth century between Classical Age and Modern Era. Each of these periods has its own, one and only, épistémè around and upon which every knowledge is constructed and operated. Renaissance has resemblance, Classical Age representation and Modern Age history. So, logically, for this logic, the knowledge on so called today 'life' for each epoch is constructed following its épistémè. But we should extremely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we are not chasing some transcendental notion of life which remains untouched through out the history. Between these different notions of each epoch, simply exist another epistemological configurations, different orders of things, different relations between words and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