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말-18세기 초 彫刻僧 守一의 造像 활동 (Monk Sculptor Suil and His Work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3.12
35P 미리보기
17세기 말-18세기 초 彫刻僧 守一의 造像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0호 / 359 ~ 393페이지
    · 저자명 : 송은석

    초록

    조선 후기 불상과 조각승에 대한 연구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첫째, 발원문 등의 기록에 의해 조각가가 확인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추출하며, 둘째, 기록이 없는 불상들은 조각가 기록이 있는 불상들과 비교하여 조각승을 추정하고, 셋째, 조각가의 작풍이 시간에 따른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한다. 양식 분석을 통하여 불상을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잘못된 기록에 의한 조각가와 제작 연대의 왜곡을 바로잡을 수도 있다. 불상의 조각가와 제작 시기를 판단하는 기초 연구에서 “양식”은 매우 중요한 분석 도구인 것이다. 이 글은 조선 후기의 주요 조각승들의 하나인 수일과 그의 작품 활동을 고찰한 연구이자, 불상에 수반한 문자 기록의 미술사 사료로서의 가치와 한계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조각승 수일은 이번 논문을 통해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새로운 조각가이다. 그는 임진왜란 종전 이후 100여 년 동안 전국적으로 벌어진 사찰 재건기의 끄트머리인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 사이에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불상을 만들고, 수리하고, 개금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일의 초반기 작품은 현재 1675년의 달성 소재사 명부전의 제 존상과 1676년의 청도 적천사 명부전의 제 존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중 소재사의 지장상은 수일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이번 논문을 통해 밝혀졌다. 수일의 작품이 확실한 소재사의 시왕상과 적천사의 지장상을 소재사 지장상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한 것이었다. 수일은 1676년 적천사 명부전 존상들을 조성한 이후 1702년과 1703년에 전남 순천 대흥사와 경남 사천 심적암에서 각각 과거칠불·오십삼불상과 아미타삼존상을 제작하였는데, 그 사이 25년 동안 불상을 조성한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순천 대흥사에 봉안되었던 불상들은 현재 서귀포, 보성, 남원 등지의 사찰에 흩어져 봉안되어 있으며, 대흥사에 봉안되었던 불상으로 추정되는 불상들도 서울, 전라남도, 전라북도 등지에 흩어져 봉안되고 있음이 양식 분석을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수일은 1670년대에 불상을 새로 조성하는 작업을 주로 하다가, 1690년대 이후에는 불상 조성과 함께 개금, 중수 등을 병행하였다. 17세기 후반 사찰의 재건 및 중창 사업이 거의 완료된 결과, 새로운 불상을 조성하는 일은 줄어든 대신 오래된 불상을 수리하는 일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sculp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studied generally through a process like below: firstly, the stylistic features of Buddha statue which was known sculptor``s name by the record of balwonmun are extracted, secondly, the sculptor of the Buddha statue without record are estimated by making a comparison to the Buddha statue with record, and thirdly, the style of sculptures changing with time are explored. We can estimate who create the statue, and when, for analyzing style, and correct the sculptor and dating of the statue with document wrongly recorded too. In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imating the sculptor and dating of the statues, style is a very useful analytical tool. This article is a study on monk sculptor Suil, one of the most important sculpt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works, and on value and limitation of textual records as art-historical sources. A monk sculptor Suil is newly introduced in the academic community through this article. At the end of the era of rebuilding Buddhist temples and recreating Buddhist statues for about 100 years after the war between Joseon and Japan(1592-1598), Suil created and repaired Buddhist statues at the south part of Korean peninsula. Suil``s early works, except Buddhist statues dated 1675 in Myeongbu-jeon of Sojae-sa temple in Dalseong and Buddhist statues dated 1676 in Myeongbu-jeon of Jeokcheon-sa temple in Cheongdo, are unknown. Ksitigarbha image, a main statue in Myeongbu-jeon, in Sojae-sa is revealed that it is not Suil``s work by formal analysis in this paper. Any textual record about Suil was not known between 1676 and 1695. He repainted in gold on Buddha Triad in Borim-sa at Jangheung in 1695, and created Seven Buddhas and Fifty-three Buddhas in the past in Daeheung-sa at Suncheon in 1702, Amitabha Triad in Simjeok-am at Sacheon in 1703. Buddha images enshrined in Daeheung-sa in Suncheon are now dispersedly enshrined in temples at Seogwipo, Boseong, Namwon, and some Buddha images which were estimated at the belongings of Daeheung-sa temple are found in the temples at Seoul, Jeollanam-do, Jeollabuk-do, etc. As a result of practical completion of reconstructing the temples in the late 17th century, creating new Buddha images decreased steadily, repairing the old statues increased greatly. Suil mainly created new Buddha images in 1670s, however, after the 1690s, he created new Buddha images on the one hand, repaired old images on the other h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