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ㆍ일제강점기 강경교회의 만동학교 설립과 운영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Mandong School by Ganggyeong Church(1908-1937))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9.09
28P 미리보기
한말ㆍ일제강점기 강경교회의 만동학교 설립과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31호 / 95 ~ 122페이지
    · 저자명 : 송현강

    초록

    지금까지 기독교 계통 사립학교에 대한 관심은 선교부 직영이었던 미션스쿨들에만 집중된 감이 있다. 예를 들어 충청남도의 경우 북감리회 공주스테이션 구내의 영명학교에 대한 높은 인지도에 비해 논산과 경천 그리고 강경에 있던 감리교의 ‘지방학교’들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물론 초-중등과정을 완비한 선교부 거점학교와 초등과정 위주였던 하위의 ‘지방학교’들을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기독교 근대교육의 하부구조를 이루면서 그 외연을 형성하고 있었던 ‘지방학교’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만동학교는 강경교회가 설립한 근대식 초등교육기관으로서 당시 강경공립보통학교와 아울러 그 도시의 유력한 초등학교 가운데 하나였을 뿐만이 아니라 그 창설과 진행 과정에서 선교사들과 아울러 지역유지들의 후원과 참여가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되었다. 본 논문은 한말ㆍ일제강점기 기독교 계통 지방사립초등학교 설립ㆍ운영의 한 사례로서 강경교회가 세운 만동학교의 역사를 추적해 보았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지방에서의 근대 기독교 초등교육의 한 양상을, 해당 시기의 사회적 조건과 선교사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만동학교는 1908년 무렵 1명의 교사와 28명의 학생들로 시작되었다. 학제는 4년제였고, 여타의 감리교 계통 지방학교들과 같은 공통의 교육과정을 갖고 있었다. 校舍는 교회 예배당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학생 수는 계속 증가하여 1920년에는 102명, 1924년에는 183명에 달하였다. 1913년 2월 20명의 학생으로 팔괘정에서 개교한 여학교는 2-3년 만에 학생 수가 두 배로 늘면서 1918년 교회 부근에 새 건물을 지어 입주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강경교회는 만동학교 부속으로 야학교와 유치원도 새로 시작하였다.
    설립 이후 1935년까지 만동학교의 역사는 감리교선교부의 공식적인 지원이 중단된 1926년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성장과 쇠퇴의 두 시기로 구분된다. 처음에 만동학교는 선교부의 지원과 교회의 부담 그리고 지역인사들의 도움으로 운영되었고, 지역유지들이 학교 경영에 참여하였다. 1926년 선교부의 운영비 지원 중단으로 시작된 만동학교의 재정적인 어려움은 1930년부터 본격화되었다. 강경교회는 학교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을 호소하며 자구책 마련에 나섰으나 결국 폐교되고 말았다.
    위의 만동학교 사례는 한말ㆍ일제강점기 개신교 선교부 계통 ‘지방학교’의 존재양식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즉 선교부가 전적인 책임을 지고 경영했던 미션스쿨의 경우와는 달리 ‘지방학교’에 대한 선교사들의 태도는 간접적이었다. 물론 그것은 재한 개신교 선교사들의 원칙적인 선교 전략이었다. 선교부는 기독교적인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던 그 학교들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물질적인 기여만을 통해 그에 보답하였다. 그러므로 이들 ‘지방학교’의 실질적 운영 주체는 지역교회였다. 그리고 학교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했던 해당 교회로서는 그 지역사회와의 유기적인 관계 설정을 도모할 수밖에 없었다.
    상업적 역량을 토대로 조선 말기부터 지방사회의 유력자로 등장한 강경의 유지들은, 1905년 지역 최초의 근대식 학교인 보명학교 설립을 주도한데 이어 강경교회가 세운 만동학교를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였다. 이미 강경교회의 예배 장소를 주선해 주었던 그들은, 만동학교의 설립 초기 학교 임원을 맡았을 뿐 아니라 1920년대에는 “(만동)교육회”를 구성하여 조직적인 후원 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재정적인 위기가 여러 차례 있었던 1930년 이후 5년 동안 만동학교가 간신히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유지들의 모금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지지덕분이었다.

    영어초록

    Mandong school is a local private elementary school established by Ganggyeong church in 1908. In the beginning there were 28 students and one teacher with a four year school system. The curriculum was the same with that of other country schools established by the Methodist church. It was assumed that a church chapel served as a classroom. The number of students had continuously increased reaching 102 students in 1920 and 183 in 1924. A girl's school opened in 1913 with 20 students in Palgwaejeong(팔괘정) had doubled its student numbers within two to three years. In 1918 the girl's school moved to a new building near the church. In 1920 Ganggyeong church also opened a night school and a kindergarten affiliated to Mandong school.
    From the inception till 1935, the history of Mandong school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time of growth and fall by 1926 with the suspension of the official financial support by the Methodist Mission. Mandong school was initially financed by the Methodist Mission, local influential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management, and internal budget of the church.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school triggered by the suspension of the support from the Methodist Mission in 1926 worsened around 1930. The school eventually closed down regardless of the efforts made by Ganggyeong church to solve the problems including an appeal to the local community for support. However the school continued its existence by the name of Mandong institute(만동학원) for three more years supported by the local influentials.
    The case of Mandong school reveals the conditions of the country schools affiliated with Protestant Missions around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ism. Contrary to the mission schools fully operated by and under control of the Mission, country schools such as Mandong were approached by the missionaries only with half enthusiasm. Such attitude was based on the missionary strategy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The Mission gave a limited material support to the country schools with the Christian background. Thus the local church was fully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such country schools. Subsequently the church had to maintain organic relationships with the local community for the sake of the stable school management.
    The local influentials in Ganggyeong whose influence grew based on the commerce power around the late Chosun Dynasty, played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the first modern school in the region, Bomyeong school, in 1905. They also made contributions with diverse methods to Mandong school of the Ganggyeong church. They negotiated for Ganggyeong church to secure a venue for worship, worked as board directors at the initial stage of the school, and systemically supported the school by establishing an educational committee for Mandong(만동교육회) in 1920s. The support of the community including a fundraising by the influentials enabled the school to survive for the next five years after several financial crises from 1930 onwards.
    Such cooperative attitude of the local influentials for the Christian-based Mandong school was related primarily with the 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region Ganggyeong. They successfully settled in a seaport and were relatively free of the class-system doctrine. Local schools benefited from their pragmatic attitude to accommodate new culture and modern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