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말 曾鯨양식의 형성과 문인적 미의식 (The Style of Zeng Jing and the Literati Aesthetic of the Late Ming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1.03
31P 미리보기
명말 曾鯨양식의 형성과 문인적 미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9호 / 103 ~ 133페이지
    · 저자명 : 정석범

    초록

    이 논문은 그간 명말의 직업적 초상화가로 인식되었던 曾鯨(1565-1647)의 회화 양식이 명말에 새롭게 대두된 강남의 문인적 미의식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증경이 그린 초상 속의 인물들은 대부분 명말 金陵, 吳門, 華亭 등 강남지방을 대표하는 문인사대부, 은둔 문인, 혹은 우국지사들이었고 그의 초상화에 제발을 남긴 인사들은 한결같이 명말의 사상계, 문화계를 대표하는 인물들이었다는점에서 증경의 초상 양식이 갖는 의의에 대한 재고가 요청된다.
    증경 초상화의 지지계층은 주자학의 교조적 가치판단을 거부하고 마음의 주관적 판단에 따를 것을 주장한 王龍溪, 李漬 등 양명학 좌파 계열의 인물들과 그들의 영향을 받아 문학에 있어 반복고주의의 기치를 내건 원굉도·원종도·원중도 등 公安派 三袁, 종성·담원춘등 竟陵派 문인들, 그리고 이들에게 공명하던 강남의은둔 및 재야 문인계층을 주축으로 한다. 이들은 과거 문학·예술 규범의 맹목적인 답습에서 탈피, 放心과 靜의 경지에서 性靈의 자연스러운 분출에 따라 창작할 것을 역설하였다. 이와 같은 강남문인들의 태도는 자연히은둔적 삶에 대한 예찬과 동경으로 이어졌고 이 점은 명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난 隱士의 존재와 이들의 세습직업화 경향에 잘 드러나 있다.
    증경의 초상화 속의 인물들은 그러한 명말 강남 문인사회의 실상과 여망을 반영, 대부분 은둔적 삶을지향하는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그들은 심산유곡에서 安貧樂道하는 모습으로, 혹은 세상과 담을 쌓고 실내에서 내밀한 자신만의 기쁨을 만끽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이처럼 증경의 초상화는 양명학적 세계관과 문인적아취를 형상화함으로써 이들 계층의 적극적인 지지를 얻게 된다.
    증경의 초상화는 기법적인 측면에서도 문인들의 미의식을 반영하였는데 이 점은 인물을 묘사함에 있어선묘를 주조로 하고 채색을 절제한 데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사실들은 증경의 초상화가 元代의 <楊竹西像>,<蘇軾像>, 明代의 <王鑒像>으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초상화 제작 기법의 맥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증경의 초상화에서는 변화의 기운도 감지된다. <王時敏像>, <沛然像>과 같은 초기의 초상화가 선묘 중심으로 얼굴을 묘사하고 있는데 비해 <徐明伯像>, <居士像> 등 일부 후기 초상화에서는 명암의 대비를 통한 입체감의 강화와 몰골법의 도입 등 서양화법의 영향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경은 자신의 제자들과는달리 상대적으로 강한 명암 대비를 절제함으로써 문인적 미의식을 거스르지 않았다. 그 결과 증경의 초상화는 강남 문인들로부터 지속적인 후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점에서 증경의 초상화 양식은 단순한 사실적 묘사력의 제고라는 기법적 차원으로만 한정짓기 보다는 명말의 시대정신이라는 내용과 그것을 담는 그릇인 기법을 포괄한 총체로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style of Zeng Jing (1565-1647), a painter of the late Ming known primarily as a professional portraitist, is related to the literati aesthetic developed during his active years in southern China, and if so, what the exact correlation is. People featured in portraits by Zeng Jing were mostly eminent literati, active in such southern cities as Jinling, Wumen, and Huating, or men of letters living in seclusion, or social and political thinkers of his time. Meanwhile, those who wrote postscripts to his portrait works were also prominent thinkers or cultural personalities of the late Ming period. His ties to the intellectuals of his time show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Zeng Jing as a simple portraitist appears both reductive and misleading. The significance of his portrait works, therefore, has to be reassessed.
    Those who were supporters of Zeng Jing and appreciated his portraits were such figures belonging to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s Wang Longxi and Li Zhi who rejected dogmatic thinking in favor of subjective and intuitive judgment. Men of letters belonging to the so-called Gong’an school, influenced by the left wing of the Wang Yangming school, such as the Yuan brothers known for their quasi-retrograde literary ideals,those adhering to the Jingling school such as Zhong Xing, and Tan Yuanchun, and members of the southern Chinese literati who led reclusive lives away from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cene of the capital city and who sympathized with the latter’s view were also among Zeng Jing’s admirers and patrons. These people shared the ideal of literature as the spontaneous expression of the mind and spirit, which is not a passive adherence to literary and artistic norms passed down from the past. This stance naturally led these southern Chinese men of letters to the praise and idealization of a bucolic existence removed from the mundane world. This is well attested to by the explosive increase of numbers of‘hermits’seen during the Ming dynasty. Many men of letters came to adopt a reclusive lifestyle.
    Eremitism gained popularity among late-Ming literati and, in some cases, became even a family tradition, handed down through subsequent generations.
    Subjects featured in Zeng Jing’s portraits reflect such ideals and aspirations of the literary circle of southern China. Zeng’s sitters were famous for shunning the‘rat-race’of the mundane world and enjoying their reclusive lifestyles. They are portrayed most often against the background of deep mountain valleys, enjoying the serenity of nature and the spiritual peace it affords, or shown in an indoor setting, immersed in an inner universe of their own,oblivious of the world outside. Zeng Jing’s portrait paintings, therefore, actively visualized the world view of the Wang Yangming school at the same time as catering to the tastes and aspirations of men of letters of his time, earning, in the process, fervent support from these people.
    Zeng Jing’s portrait paintings reflected the aesthetic of the literati class of his time in their technical aspects as well. Subjects are portrayed, for example, using mainly contour lines, and the use of color is kept to a minimum. These technical aspects, meanwhile, are in continuity with an existing stylistic tradition exemplified by Portrait of Yang Zhuxi and Portrait of Su Shi from the Yuan dynasty and Portrait of Wang Jian from the Ming dynasty.
    This is not to suggest that there was no stylistic evolution in Zeng Jing’s paintings. For example, his later works such as Portrait of Xu Mingbai or Portrait of a Herm it are quite distinct from his early works such as Portrait of Wang Shimin or Portrait of Pei Ran that are primarily line-depicted portraits. In these later works of his, Zeng Jing attempted to render depth using light and shade, or avoided contour linesentirely; thereby showing a degree ofWestern influence. But, unlike his own disciples, Zeng Jing used the contrast of light and shade with moderation, in a manner not to run counter to the literati aesthetic of his time.
    This helped ensure a steady base of followers among Southern Chinese literati members.
    That is one reason why the significance of Zeng Jing’s portrait paintings should not be reduced to their technical quality, namely a highly realistic mode of depiction. His portrait paintings should be reassessed as works that embody the zeitgeist of the late Ming dynasty,and his techniques as the vehicles of the worldview of 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