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악공 · 기녀의 위상과 음악사적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Kisaeng/Akkong in Goryeo Dynasty as a Minority Literatur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8.12
38P 미리보기
고려 말 악공 · 기녀의 위상과 음악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15권 / 7 ~ 44페이지
    · 저자명 : 김수경

    초록

    이 논문은 고려 말 음악문화를 실제적으로 담당했으나 주목받지 못했던 악공 · 기녀의 위상 및 역할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힌 글이다. 악공과 기녀는 고려시대의 신분제도상 최하층으로서 사회적인 지위와 대우의 측면에서는 소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악기를 연주하고 가무를 연행하는 악(樂)의 수행 측면에서는 고려 말 궁중의 음악문화의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의 역할은 궁중 의례나 사신 접대 등 왕실의 행사에만 머물지 않고 사대부 귀족층이 주관하는 민간 연회에까지 미쳤으므로, 소속은 하층의 신분이지만 상층문화의 담당층으로 보아야 할 여지가 많다. 이들의 역할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격변기에, 전 왕조의 음악을 혁파하고 새 왕조에 적합한 새로운 음악을 창안하고자 했지만 이전의 음악과 춤 · 노래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던 상황이기에 더욱 의미가 크다. 고려 말 악공과 기녀의 활동 양상은 대악서 관현방 및 교방 등 왕실 음악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펼쳐졌다. 악공과 기녀는 실제로 음악을 연주하고 공연을 베풀었을 뿐만 아니라, 문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때로는 궁중의 소용에 맞도록 음악을 편집하고 개작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민간의 음악을 궁중에 전파하고, 역으로 궁중의 음악을 민간의 연희 공간에 전해주는 긴요하고도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saeng(妓生, a female entertainer who played in the palace)/Akkong(樂工, court musician) from the perspective of a minority group. The word ‘minority’ in this sense does not only carry a sense in number but also refers to groups subjected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this regard, Kisaeng/Akkong in Goryeo Dynasty era can be categorized as a minority group.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minorities that are excluded from the power lays in their acts to create new values that is free from the regulation of the majority and in their strength to resist against the power of it. But Kisaeng/Akkong in Goryeo Dynasty era were in the boundary of the power of majority, especially court and literati class. Even though they were lowest class of the Goryeo society, they were not just minority like the other minority group as the three aspects like these. 1) They served the performance in the royal banquet. Kisaeng danced and sang a song for the king while Akkong played the various instruments. Sometimes Kisaeng also played the various instruments. 2) Especially Kisaeng exchanged the poems with th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y presented the poems to the special Kisaeng or Kisaeng sang songs that they created instead of Kisaeng. There are lots of that kind of poems that existed in Goryeo Dynasty era. 3) Kisaeng/Akkong in Goryeo Dynasty era were usually showed the performance in the court, but sometimes they played in their native village or the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places. They played more various repertories of their performance. Probably they played the song and dance “there”, which they played in the court, vice versa they played the same song and dance “in the court”, which they played in the village and the private places. Consequently, the song and dance in the village were carried to the court, and those in the court were conveyed to the village.
    Kisaeng/Akkong in Goryeo Dynasty era can be categorized as a minority group, but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were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lowest social class and the highest role of the performer in the court. This kind of status gives them the significance that they could exchange the songs, dances, emotions and the cultures between the totally different class an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