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일제하 김해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The National and Social Movement in Gimhae in Late Joseon Dynasty and Colonial Era)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4.11
70P 미리보기
한말·일제하 김해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7권 / 2호 / 219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승

    초록

    일제시기 군·면 단위의 지역은 식민지 민중의 일상적인 삶이 실현되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일제시기 지역민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군·면 단위에서 전개된 지역민들의 다양한 삶의 형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남 동부지역에 위치한 김해는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역량이 강했던 곳이다. 그러나 기존의 김해지역 연구에서는 농민운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정작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배수지 역할을 하였던 청년운동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다루지를 못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 연구들에서 미흡했던 청년운동을 중심으로 김해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한말 김해지역에서 전개되었던 애국계몽운동을 통해 김해지역 여론주도층의 동향과 각 인물들의 출신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일제시기 김해지역 활동가들의 인적 관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일제시기 김해지역의 청년운동가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천도교와 기독교 계열의 활동가들이 많았음을 밝히고, ‘김해형평사사건’을 통해서는 김해청년회가 직면했던 현실적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한편 김해청년회와 김해교육회 중심으로 진행된 합성학교 유지운동을 통해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식민지 공공성’ 문제와 관련해서 김해지역 사회내부의 갈등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김해지역의 청년운동은 1927년 8월 청년동맹이 결성된 이후 면 단위의 지부조직들을 정비함으로써 김해지역 사회운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고는 한말로부터 신간회가 해소되는 시기까지 김해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1930년대 김해지역의 혁명적 농민운동이 출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무엇이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Matters that we can confirm from the racial and social movement in Gimhae ar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as follows.
    During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branches of Daehan Jaganghoi and Daehan Association were formed. The only places in which the branches of these two societies were formed in Gimhae and Dongrae. The facts that we come to understand from the members of these two societies were while there were a few people from Guangju Ahn and Guangju Roh, who can be called as the gentry class, there were a lot of those who were from Bunseong Bae, the Hyangri class, and Gimhae Heo, the Sinhyang class. In particular, the influences of two families, Bea and Heo, seem to be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can be identified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a lot of people from the two families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the history of Gimhae issued in April, 1929.
    The contrast of these people was members of Gyonam educational association in Gimhae. While I could identify only a few members of Gyonam educational association, most of them were Guangju Ahn and Guangju Ron, the gentry class, and Gimhea Heo, the Sinhyang class. In other words, local elites who valued an old custom were the center of the Gimhae branch of Gyonam educational association whereas the Hyangri class from Bae family was not involved in the association. From thi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re were invisible boundary and competition between the gentry class and hyangri class in Gimhea reg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Second, when it comes to the Gukchae-bosang movement, there was more organized movement in Myeongi-myeon, a town suburb, than in the town. Myeongji-myeon also had Dongmyeong School, which was the biggest school in Gimhae, which was possible due to the economic foundation generated from the development of salt pond. Hapseong School in the town and Joyangeuisook run by Guangju Roh family in Sangrim-myeon were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private schools in Gimhae. Hapseong School established by the Gimhae church was taken over by Gimhae young adult group due to a financial difficulty in 1920. However, after 1926, it became a subject of a conflict regarding the foundation of Gimhae public agricultural school with the preparatory association for establishing agricultural school. This was mainly due to a power struggle among associations and wealthy local farmer class who wanted to expand their power.
    Third, another important feature that we need to note with regard to Gimhae young adult group is that those who believed Christianity and Catholic were leading the young adult move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The fact that those who believed in Christianity were actively involved in many associations suggests they accepted Christian socialism to some extent. They were able to have an active role since those who believed Cheondogyo were from Cheondogyo innovation sector or an old Cheondogyo rather than a new Cheondogyo.
    Fourth, ideological organizations were formed after 1923; Jesa Association and Bukguang Association in the town of Gimhae and Baesu Association in Jinyoung. These ideological groups were a driving force of leading the innovation of young adult movement and the social movement driven from the proletariat public. Conflict between two factions was resolved in some degree since the foundation of Gimhae young adult alliance and Singan association Gimhae branch after August, 1927.
    Fifth, many of Gimhae young adult alliance were involved in Gimhae agricultural union and Singan association Gimhae branch. Therefore, the young adult movement, agricultural movement and Singan association after 1928 were able to be run in a close bond. The power of a close solidarity among social organizations, particularly Gimhae young adult group, was a foundation of innovative agricultural union move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Lastly, the fact that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o learn Gimhae area is that those from Roh, Ahn and Heo from local elites, and Bae from Hyangri class took a major role in the racial and social movement in Gimha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particular, there were a lot of important figures from Bae family not only for progressive figures, but also conservative figures as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elite. This can be an important keyword in understanding the society of Gimh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