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人名으로 본 말갈·여진의 관계와 변화 (The Relationship and Changes of Malgal and Yeojin by Nam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人名으로 본 말갈·여진의 관계와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17호 / 355 ~ 384페이지
    · 저자명 : 김락기

    초록

    이 글은 8세기의 말갈 인명과 10~12세기의 여진 인명을 비교하여 양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말갈과 여진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두 시기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글자가 많다는 점에서 충분히 인정할 수 있으며, 두 집단의 문화적 친연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다만 8세기 말갈의 대표적 인명으로 나타나는 ‘蒙’ 계열의 이름이 완전히 사라지고, 새롭게 ‘弗’, ‘達’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말갈·여진 사회에 모종의 변화가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변화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단계로는 나가지 못했으나, 발해의 성장과 멸망에 따른 통제력의 작동과 와해가 배경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특히 말갈의 대표적 인명으로 알려져 있는 ‘□□蒙’ 형태의 이름이 실제 기록상으로는 714년부터 727년까지 매우 짧은 시기에만 나타나고 있으며, 발해까지 포함해 보아도 776년을 끝으로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727년은 발해가 흑수말갈에 대한 공략을 통해 말갈 제부에 대한 통제력을 확대·강화하는 시점으로 727년 이후 ‘몽’ 계열의 이름이 사라진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926년 발해의 멸망 이후 만주 일대에서 발생한 국가권력의 공백상태 속에서 말갈·여진 집단 사이의 이합집산 등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런 상황이 인명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the Malgal(靺鞨) of the 8th century with the Yeojin(女眞) of the 10th to 12th centuries to see how they are related. Overa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lgals and the Yeojin is supported by the large number of characters in common between the two periods, indicating a cultural affinit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Malgal and Yeojin societies in the 8th century, as the name ‘Mong(蒙)’, which was representative of Malgal, disappeared completely and new names such as ‘Bul(弗)’ and ‘Dal(達)’ appeared. Although we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the specific cause of the change, we speculate that the rise and fall of Balhae(渤海) and its control may have been one of the factors. In particular, we noted that the “□□蒙” form of the name, which is known to be a representative name for Malgal, only appears in the actual records for a very short period of time, from 714 to 727, and does not appear again until 776, even if we include the Balhae. The year 727 is thought to be the point at which Balhae expanded and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the Malgal region through its attack on the Heuksu Malgal(Heishui Mohe, 黑水靺鞨),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Mong’ name after 727 may be significant. In addition, in the vacuum of state power that occurred in Manchuria after the fall of Balhae in 926, changes such as the convergence of the Malgal and Yeojin groups were found, and it was assumed that this situation was also related to changes in Nomencl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