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전쟁의 참화와 기록 의식의 대두 (The Aftermath of W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mergence of Recording Consciousnes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고려 말 전쟁의 참화와 기록 의식의 대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78호 / 203 ~ 234페이지
    · 저자명 : 장지연

    초록

    이 글에서는 전쟁과 같은 참화에서 피해자의 이야기가 기록되는 방식이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는 전제 아래, 인물전의 분석을 통해 14세기 말이 이러한 기록 의식이 대두한 시점이라고 주목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여러 전란으로 인명 피해가 심했으나, 14세기 전반까지 무명의 피해자를 호명하여 기록해야 한다는 인식이 보이지 않는다. 이곡・이색의 인물전은 자신들이 친분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14세기 말, 이색보다 한 세대 아래인 정도전・조준・권근 등의 세대는 달랐다. 이들은 왜구가 일으키는 전란과 해이해진 사회 기강과 윤리를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했는데, 피해자에 대한 포상과 기록을 그 방법으로 취했다. 조준은 우왕대 체복사 활동 등을 하며, 군대의 기강을 바로잡고 지역의 효자・절부 등을 보고해 포상함으로써 기강을 세우고 민심을 위무했다. 조선시대 지방에서 효자・열녀 등의 사례를 중앙에 보고하고 예조에서 해마다 정리하는 체계가 갖추어진 것은 고려 말 이래의 이러한 문제의식이 이어지며 실천되고 제도화된 것이다. 정도전・권근 등은 유배 생활 중에서도 바람직한 행적을 지닌 지역민을 기록했다. 이들이 기록한 사람들은 원래 친분이 있던 이들이 아니라, 우연히 발견한 인물들이었다. 이처럼 훗날 조선을 건국한 이들은 무명의 사람들을 기록함으로써 역사에 이름을 남겨주겠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를 통해 왜구 때문에 죽임을 당한 많은 이들이 열녀나 효자로 그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이들은 피해자 중에서도 충・효・열의 가치 기준에 맞는 ‘올바른 피해자’를 선별하여 기록했다. 이를 위해 서사를 윤색한 흔적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선별과 윤색이 이루어졌다고 하여 이들의 작업을 폄하할 수는 없다. 역사적 경로를 보았듯이, 무명의 민간 피해자를 기록한다는 인식 자체가 14세기 말에서야 자리 잡은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올바른 피해자’는 무너진 기강을 세우고 민심을 위무하려고 한 것 역시 당대의 맥락에서는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이러한 기록 의식은 조선의 장기 평화의 바탕이 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victims' stories during wars have been documented, focusing on the late 14th century as a crucial period for this awareness.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many casualties went unrecognized until this time. Figures like Yi Gok and Yi Saek recorded only those they knew personally. However, reformers Jeong Do-jeon, Jo Joon, and Kwon Geun shifted this perspective, addressing issues like Japanese pirate invasions and social decay. Jo Joon’s efforts in military disciplin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honoring local virtuous individuals. This practice led to the formal recognition of exemplary conduct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the legacy of acknowledging moral actions initiated at the end of the Goryeo era. Jeong Do-jeon and Kwon Geun documented the stories of unfamiliar individuals they encountered, honoring those who fell victim to violence. The selection of “proper victims” based on loyalty, filial piety and female chastity reflects the societal values of the time and served to restore order and comfort the people. This conscious documentation of nameless civilians ultimately laid the foundation for lasting peace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