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말량의 가무악歌舞樂 계보 연구 (Study on Lee Malryang's Musical and Dancing Line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03
32P 미리보기
이말량의 가무악歌舞樂 계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6호 / 85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혜

    초록

    문정汶汀 이말량(李末良, 1908~2001) 선생은 경주에서 태어나 10대에 함흥 반룡권번盤龍券番으로 가서 전통 가무악歌舞樂의 교육을 받았고, 20대와 30대까지 그곳에서 활동하고 생활하였다. 그러다 40대 초반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서 1984년 은퇴기념공연을 하기까지 경주에서 활동한 예인藝人이었으나, 지금까지 음악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99년 『형제줄풍류』 음반에 이말량이 연주한 가야금풍류 염불과 타령이 실려 출반되었고, 2010년 그가 연주한 가야금풍류 전바탕과 양금풍류 세영산부터 우조가락도드리까지의 음원이 악보와 함께 출시되었다. 그런데 이말량이 연주한 음악이 누구를 통해서 계승된 음악인지, 그리고 이말량의 실력이 당대에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한 것 등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래서 본고는 이말량에게 가야금풍류를 비롯하여 전통 가무악을 전승시킨 이말량의 스승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당시 스승들의 음악적인 배경과 지명도 또는 능력을 파악하여 이말량 음악의 계통을 밝히고자 시도한 글이다.
    연구의 결과 이말량은 함흥에서 여섯 분에게 지도를 받았고, 경주에서는 한 분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양금풍류 전바탕은 아악부 출신의 박경원에게 배웠고, 가야금풍류 전바탕은 가야금의 명인 정용운에게 배웠다. 양금 풍류의 경우 경제京制일 가능성이 크다. 그런 반면 거문고풍류와 단소풍류를 경주에서 최창로에게 배웠는데, 이것은 경주 향제鄕制일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최창로는 일제시대 때부터 경주 율방에서 최윤과 함께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 동도국악원의 사범을 하였고, 1960년대까지 오직 경주에서 활동한 붙박이 예인이기 때문이다. 결국, 풍류음악에 있어서 이말량은 함흥에서 익힌 아악부 계통의 경제와 경주 풍류의 사범에게 익힌 경주향제를 모두 보유했다고 볼 수 있다.
    가야금산조는 정용운과 정남희에게 배웠는데, 정용운제는 이미 1980년대에 가락을 잊었다고 하므로 이말량의 가야금산조는 정남희제일 가능성이 크다. 가야금병창도 정용운과 정남희에게 배웠는데, 분명한 것은 적벽가 중 <새타령>은 정용운제이며, <어화청춘>은 정남희제이다.
    춤 분야의 경우, 검무는 박경원에게 배웠다. 박경원은 아악부 출신의 사범이었기 때문에 궁중에서 연행한 검무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승무는 한성준과 김계선에게 배웠는데, 김계선이 한성준의 제자였으므로 이말량의 승무는 한성준 → 김계선 → 이말량의 계보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조금화는 이말량의 양모養母이면서 보조 스승이었다. 이말량은 조금화가 지도한 교육 내용을 뚜렷하게 거론하지 않았지만, 그녀가 승무 ‧ 검무 ‧ 화관무(포구락 등에 능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춤의 기본기를 전승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듯 그의 춤 실력은 온전히 함흥에서 박경원과 김계선 및 한성준과 조금화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 이말량의 가 ‧ 무 ‧ 악 계보를 파악하기 위해 그의 스승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것은 이말량이 남긴 음원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Munjeong(汶汀) Lee Malryang(李末良, 1908-2001) was born in Gyeongju. She went to Hamheung in her teens to learn traditional music and dancing at Ballyonggwonbeon(盤龍券番) and spent the life of her 20s and 30s there. In her early 40s, she returned to her hometown and were active until she had a retirement performance in 1984. However, she has not been well known in the academic world of music.
    In 1999, a few of Lee Malryang's performances were released on a record, entitled Hyangjejulpungnyu, which includes her gayageumpungnyu yeombul and taryeong. In the year of 2010, the sound sources of her performances, ranging from gayageumpungnyu jeonbatang and yangeumpungnyu to ujogarakdodeuri, were published along with the scores. However, who taught her and how good she was in her days have not been made public.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about the teachers who had taught Lee Malryang gayageumpungnyu and other traditional music and dancing in order to figure out where her music originated from. It turned out that she learnt from six different musicians in Hamheung and one in Gyeongju.
    She learnt yangeumpungnyu jeonbatang from Park Gyeongwon who belonged to a-akbu and gayageumpungnyu jeonbatang from Jeong Yongun, the master of gayageum. In case of yangeumpungnyu, it's very likely to be gyeongje(京制), while geomungopungnyu and dansopungnyu are likely to be Gyeongju hyangje(鄕制) since she learnt it from Choe Changro in Gyeongju. He was a Gyeongju local who had never left the city since Japanese occupation. Back then, he worked with Choe Yun in Gyeongju yulbang. Then, he taught in Dongdo Gukakwon from late 50's to 60's. Judging from these fac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Lee Malryang was affected by both gyeongje of a-akbu that she'd acquired in Hamheung and Gyeongju hyangje that she'd learnt from a musician in Gyeongju.
    It is said that she learnt gayageumsanjo from Jeong Yongun and Jeong Namhui, but, as Jeong Yongun is said to have already forgotten its melody in 1980, it is very likely that she learnt it from Jeong Namhui. She also learnt gayageumbyeongchang from Jeong Yongun and Jeong Namhui. One thing certain about this is that she must have learnt “Saetaryeong” from Jeong Yongun and “Eohwacheongchun” from Jeong Namhui.
    She learnt sword dancing from Park Gyeongwon. Since Park Gyeongwon used to belong to a-akbu, the kind of sword dancing he taught must have been the one that had been performed in the court. In case of Buddhist dancing, Han Seongjun and Kim Gyesun taught him. It is known that Kim Gyeseon used to be a student of Han Seongjun, so it is possible to form a lineage in the tradition of Buddhist dancing that begins from Han Seongjun to Kim Gyeseon and, finally, to Lee Malryang. Another teacher of Lee Malryang that needs to be mentioned is her step-mother, Jo Geomhwa. Although she didn't mention what she learnt from h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he acquired the basics of dancing from her because she was very proficient in Buddhist dancing, sword dancing, and Hwagwanmu(pogurak).
    This study examined Lee Malryang's teachers to find out about her musical and dancing lineage.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bet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s that she left beh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