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性)과 말 끼어들기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Spoken Interven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8.08
33P 미리보기
성(性)과 말 끼어들기와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45호 / 51 ~ 83페이지
    · 저자명 : 강소영

    초록

    본고는 말 끼어들기의 세부적 의미기능을 나누어 이의 사용실태를 오락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해 보았다. 말 끼어들기는 남성의 공격적 대화방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정리되었는바, 본고는 기존의 말 끼어들기를 둘러싼 남녀의 성차적 특징이 재해석될 여지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 대중매체에서 남녀의 대화방식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토크쇼 형식의 프로그램 3편을 선정하여 (2) 말 끼어들기로 인한 말 겹침 장면만을 모아 현재 화자에게 우호적이었는지, 비우호적이었는지를 분석하고 (3) 그 분포가 성차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여성은 우호적 말 끼어들기를 좀 더 자주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화제의 흐름에 관여하기보다는 상대방과의 정서적 교류, 연대감을 살리는 말 끼어들기를 자주 사용함을 보이었다. 그러나 혼성 출연자가 나온 프로그램에서 여성은 우호적 말 끼어들기만이 아니라 비우호적 말 끼어들기에도 적극적으로 임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이성만이 아니라 동성과의 말차례에도 동일하게 목격되어, 언제 어디서나 대화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었다. 또한 남성은 선행연구결과와 같이 동성보다는 이성의 말차례에 자주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우호적 말 끼어들기를 자주 행하거나 혼성으로 구성된 경우 여성보다 말 끼어들기를 적게 행하는 등 기존에 남성의 힘에 근거한 지배적, 공격적 대화 진행방식과는 다소 다른 면모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남성과 여성의 대화진행방식은 조금씩 변모하고 있고 성차에 구별 없이 동일하게 변해가는 중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the detailed meaning function of interventions and explore and analyze the reality of use in entertainment programs. As spoken intervention has been seen as an example of men’s aggressive dialogu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room for re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of sexual disparity between men and women over existing interventions. For the study three talk show programs were selected to effectively demonstrate how men and women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media. Interruption scenes caused by intervention were collected from these programs and analyzed to see whether they were friendly or unfavorable to the present speaker, then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whether the distribu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Women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use favorable interventions, and rather than engaging in the flow of topics, they were often seen to use interventions to improv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with others. However, in the program featuring a mix of genders, women showed an active attitude, not only to favorable intervention but also to unfavorable intervention. This was witnessed not only with male performers but also with other female performers, showing that they were more aggressive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conversation. Males intervened more favorably in with women than with men, as already shown in previous research results, however, as males less frequently intervene than females, favorable interventions are frequently composed of males and females, somewhat differing with the ideas of dominant and aggressive ways of conversing based on men trying to assert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 to show that the way men and women converse is gradually changing and it is changing equally,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