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Study on the management and influence of the Tamra Ranch in the late Goryeo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6.06
40P 미리보기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52호 / 67 ~ 106페이지
    · 저자명 : 강만익

    초록

    이 논문은 고려 말 원 제국이 탐라(제주)에 설치했던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에 대해 조명한 것으로, 원 제국은 1273년 고려군과 함께 제주도에 있는 삼별초 군대를 진압했다. 그 후 탐라를 직할지로 삼은 원 제국은 1276년 8월 군마를 생산하기 위해 탐라 목장을 설치했다. 이 목장은 제주 地域史에서 최초로 등장한 것이었다. 원 제국은 탐라의 다루가치로 임명된 타라치에게 말 160필과 목축 전문가인 하치들을 보내 탐라목장을 운영하도록 했다. 이 목장은 1276년에 제주 동부지역의 수산평 그리고 1277년에 서부지역의 차귀평에 입지했다. 원 제국의 탐라목장 설치는 제주지역 목초지에 대한 정복과 지배의 여정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원 제국은 제주의 동부지역을 東아막, 서부지역을 西아막으로 삼아 이곳의 목장을 조직적으로 관리했다. 아막은 넓게는 道・郡 등에 해당하는 행정단위, 좁게는 목장을 관리하는 본부의 역할을 했으며, 동・서 아막 내에는 몽골인들의 전통 집인 게르와 城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목장이 설치된 초기에 원 제국은 일본 정벌을 앞두고 있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295년에야 원 조정에서는 관리를 보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해갔다. 이것은 탐라목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즉, 목장 운영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로 해석된다. 1296년 원 제국은 탐라목장을 전담해 운영할 단사관[자르구치]을 파견했다.
    1300년 원 제국은 사망한 황후의 마구간 말을 탐라목장에 방목했고, 탐라총관부를 일시적으로 부활시키는 등 목장운영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1350년대에 들어와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전개하고, 명나라가 고려에 탐라 말 2,000필을 요구함에 따라 하치들이 집단적으로 저항했다. 이것은 ‘목호의 난’으로 알려지며, 이에 따라 공민왕은 탐라에서 원의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 최영 장군에게 탐라의 목호세력에 대한 정벌을 명령했다. 그 결과 목호군이 1374년 최영 군대에 의해 진압되면서 목호세력은 큰 타격을 받았으며, 몽골인이 운영했던 몽골식 탐라목장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탐라목장이 운영되는 과정에 몽골인 거주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몽골식 목축경관이 등장했고 몽골의 목축문화가 탐라사회로 전파되었다. 이 목장에 대한 탐색 결과, 조선시대 제주도에 설치되었던 국영목장과 산마장 등은 일정 부분 제국이 운영했던 탐라목장과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탐라의 목축 방식 역시 원 제국의 하치들이 탐라에 전파했던 목축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sheds light on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of the Tamra Ranch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at was established by Mongol Empire. In 1273, the Mongol Empire(the Yuan Dynasty) suppressed the Sambyeolcho[三別抄] army in collaboration with the Goryeo Army in in Jeju Island. Khubilai Khan of the Mongol Empire, who put Tamra under the direct control, established a ranch in Tamra to produce military horses in August 1276. The ranch,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amra, was operated by the Tarachi designated by the Darughachi of Tamra with 160 horses and the dispatched stock farmers(Khachi).
    The Tamra Ranch[耽羅牧場] was separately located in Susanpyeong [水山坪] in the Eastern area of Jeju in 1276 and in Chagwipyeong[遮歸坪] in the Western area in 1277. Establishment of the Tamra Ranch by the Mongol Empire was the signal to inform the journey of conquest and domination over the pasturelands in Jeju Island. The Mongol Empire built the Eastern Aimaq[阿幕] and the Western Aimaq to systematically operate the ranch. The Aimaqs served as a headquarters to manage the ranch, and Gers and castles were within the Aimaqs.
    The Mongol Empire did not take out horses from Tamra to the Mongol Empire at the beginning of the ranch, since the empire was planning to conquer Japan. The Mongol Empire started to take out horses from Tamra via the government officials in 1292. This was aimed to check whether the Tamra Ranch was operated in a stable manner and examine the ranch operation system.
    The Mongol Empire dispatched the Jarguchies[斷事官] to Tamra to operate the ranch in 1296. The Mongol Empire put the horses of the stable owned by the deceased empress to pasture in the ranch in Tamra in 1300, and actively operated the ranch by temporarily reviving the Tamlachonggwanbu[耽羅摠管府].
    As King Gongmin developed the policies against Mongol in the 1350s and the Ming Dynasty requested 200 horses in Tamra to Goryeo, Karachies staged a revolt.
    With the revolt, known as the ‘revolt of Mongol malchin’, King Gongmin ordered General Choi Young[崔瑩] to conquer the Mongol malchin[牧胡] to eradicate the Mongol forces.
    As the main military force of Mongol malchin in Tamra was collapsed by General Choi Young’s Goryeo troops in 1374, the Mongol malchin, who ran the ranch in Tamra, were hit hard, whereby the Tamra ranch started to be declin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amra Ranch, the Mongolian’s village was formed for the Mongolian officials, Khachies and prisoners and the culture of stock-farming was spread to the Tamra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Tamra Ranch, it is concluded that Gukmajang[國馬場]-the national ranch of Joseon-Dynasty and Sanmajang [山馬場] established in Jeju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were mostly took over from the Tamra Ranch, which as ran by the Mongol Empire.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methods of stock-farming were rooted in the culture of stock-farming that was spread to Tamra by Mongolian Khach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