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별 갈등 새말과 언어 태도 (Neologisms Related to Gender Conflict and Netizens’ Linguistic Attitud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05
36P 미리보기
성별 갈등 새말과 언어 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학 / 103권 / 71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정복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만들어진 ‘갈등 관계’를 나타내는 새말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국립국어원에서 20년 동안 조사한 새말을 분석한 결과, 갈등 관계 새말은 513개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성별 갈등 새말이 32.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성별 갈등 새말은 2000년부터 약 10년 동안 조금씩 증가하다가 2008, 2009년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고, 이후 서서히 줄어들었다. 사회경제적 요인과 매체 환경의 변화 때문에 성별 갈등 새말이 점차 늘어났다. 2010년 이후 성차별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관련 연구 및 여성 운동이 증가한 덕분에 성별 갈등 새말이 점차 줄어든 것으로 해석되었다. 성별 갈등 새말의 81.2%가 여성에게 불리하거나 여성을 차별, 비하, 배제하는 내용인데, 형태론적 요인의 작용으로 최근 들어서 갈등 관계 새말이 성별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새말 형성에서 보이는 언어 현실과 달리 화자들의 언어 태도는 아직도 강한 성별 대립 상태에 있음을 분석했다. 언어 상황과 언어 태도 사이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새말 형성에 놓여 있는 사회적 의미를 화자들에게 충분히 알리는 홍보와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ologisms being ‘conflict relationships’ created since 2000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ologisms survey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or 20 years, there were 513 words related to conflict. Among them, neologisms of gender conflic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32.2%. It gradually increased for about 10 years since 2000, reached the highest level in 2008 and 2009,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Due to changes in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media environment, neologisms of gender conflict gradually increased. Since 2010, we interpreted that neologisms of gender conflict have gradually decreased thanks to the large social emphasis on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increase in related research and women’s movements. 81.2% of gender-conflict neologisms are unfavorable to women or have content that discriminates, degrades, or excludes women, but recently, due to the action of morphological factors, neologisms related to gender conflict have achieved gender balance. Unlike the linguistic reality seen in the formation of words, the analysis showed that netizens’ linguistic attitudes are still in a state of strong gender conflict. We pointed out that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language situation and linguistic attitudes, publicity and education are necessary to sufficiently inform the speakers of the social meanings that lie in the formation of neologis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