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求禮 義兵의 항일투쟁 (The Gurye RA’s Fight for Act of Aggression by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12
38P 미리보기
한말 求禮 義兵의 항일투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7호 / 209 ~ 246페이지
    · 저자명 : 홍영기

    초록

    이 글은 전라도 의병 중에서 求禮 義兵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글에서 구례의병이란 구례 출신으로 의병 활동을 했거나, 구례를 무대로 전개한 의병 활동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한말 구례 의병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구례출신으로 의병에 참여한 인물과 그들의 의병 활동상의 특징을 먼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구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義陣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례 출신 의병들은 1850년대에서 1880년대 출생자로서 의병에 참여한당시의 연령은 20대에서 50대에 해당되었다. 이들의 신분이나 직업은 임현주와 유병기등 유학자 2명을 제외하면 평범한 농민이나 상인들로 파악되었다. 이들의 거주지는 마산면과 토지면 등 주로 지리산과 백운산에서 가까운 산간 지역이다. 이들 중 일부는 타지역의 의진에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구례에서 활동한 의병들은 대부분 고광순 의진 소속이었다. 이들 중에서 유병기가 가장 대표적인 의병장이었다.
    구례에서 활동한 타 지역 출신 의병장으로는 백낙구 김동신 고광순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독자적인 의진을 조직하여 구례를 비롯한 지리산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그 중에백낙구는 맹인의병장이었는데, 구례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그 후 충남 회덕 출신의 김동신과 전남 창평 출신의 고광순은 이른바 지리산근거지론에 입각하여 항일투쟁을전개하였다. 특히, 이들은 지리산 문수골의 문수암과 피아골의 연곡사 등 구례지역 사찰을 근거지로 삼아 의병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또한 이들은 구례를 중심으로 전북의 남원, 전남의 곡성 광양, 경남의 하동 함양 등 지리산권역을 넘나들며 일본 군경과 싸웠다.
    이들의 지리산근거지론은 삼남지방 의병들의 큰 호응을 받았으며, 1908년을 전후하여지리산은 의병기지로 탈바꿈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Righteous Armies (RA) in the Jeolla province. In this article, Gurye RA refers to the RA activity from Gurye(求禮) or RA activity developed on the stage of Gurye. It is difficult to find any specific research on Gurye RA. Accordingly, the figures who were from Gurye and participated in the R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A activities were first reviewed. Next, the characteristics of a righteous camp, who was active in the Gurye area, were examined.
    As a result, RA from Gurye were born in the 1850s and 1880s, and the age of participants in RA activities at the time was between their 20s and 50s. Their status and occupation were identified as ordinary farmers or merchants, except for two Confucian scholars, Lim Hyun-joo(林顯周) and Yoo Byeong-gi(劉秉淇). Their residences are mainly mountainous areas such as Masan-myeon and Toji-myeon close to Mt. Jiri and Mt. Baegun.
    Some of them were active in a righteous camp in other regions, and most of RA who were active in Gurye belonged to a righteous camp Ko Gwang-soon(高光洵). Among them, Yoo Byeong-gi was the most notable RA leader.
    Baek Nak-gu(白樂九), Kim Dong-shin(金東臣), and Ko Gwang-soon are representative of the RA leaders from other regions who worked in Gurye.
    They organized their own righteous camps and were active in Gurye and other Mt, Jiri areas. Among them, Baek Nak-gu was the blind RA, and he was the first to raise a RA in Gurye. After that, Kim Dong-shin from Hoedeok(懷德), Chungcheongnam-do, and Ko Gwang-soon from Changpyeong (昌平), Jeollanam-do, staged an anti-Japanese struggle based on the so-called the theory of the base camp in Mt. Jiri(智異山根據地論). In particular, the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RA by using temples in Gurye, such as the Munsuam Temple in Munsugol and the Yeongoksa Temple in Piagol, Mt.
    Jiri areas. In addition, they fought with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by crossing Mt. Jiri areas such as Namwon(南原) in Jeollabuk-do, Gwangyang (光陽) and Gokseong(谷城) in Jeollanam-do, and Hamyang(咸陽) and Hadong (河東) in Gyeongsangnam-do, centering on Gurye. Their theory of the base camp in Mt. Jiri was well received by RA in the Samnam(三南, the three provinces) region, and around 1908, Mt. Jiri was transformed into a righteous army base cam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