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말, 한족 표상의 구축 (The formation of the ethnic identity in the last period of Qing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청말, 한족 표상의 구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8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백광준

    초록

    한족은 사실상 중국을 대표하는 거대 민족이다. 이 글에서는 중국을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민족이 근대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청말의 시기를 주목하였다. 곧 당시 한족 스스로가 자신들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를 통해 한족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당시 혁명파는 청조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만주족과의 대비 속에서 한족의 정체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한족과 만주족의 경계는 명확해져갔고, 한족의 표상 역시 구체화되어갔다. 그들에 의해 당시 한족의 표상으로 가장 뚜렷이 내세워진 것은 노예와 황제라는 상징이었다. 노예라는 상징은 상황에 순응하는 근성과 독립 의지가 결여되어있다는 점에서 자주 호출되었으며, 황제는 한족의 시조로서, 종족의 시원이 만주족과는 전혀 다른 것임을 드러내기 위해 표방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 서구로부터 유입된 근대지를 바탕으로 한 민족에 대한 계보적 구성이 과학적 색채를 띠며 제시되었고, 더불어 오랑캐에 대한 등차적 시선을 바탕으로 구축된 중화의식을 부각시키며 문명 대국이라는 점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곧 각기 부정과 긍정의 욕망을 수반하는, 이 두 표상이 가지는 상반성은 전통적 화이론과 서구 문명에 대한 우호적 시선 그리고 진화론 등이 연계된 등차적 시선들과 결부되면서 빚어진 것으로, 이를 통해서 당시 혁명파들은 둘의 표상을 동시적으로 받아들였고 이로써 두 표상은 거대한 간극에서 오는 긴장을 수반하면서 긴밀히 연동되었고, 이를 통해 한족의 정체성은 극적으로 구성되어갔다.
    이러한 청말의 표상은 신해혁명과 함께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지만, 배타적 한족 표상은 혈통을 내세운 ‘염황자손’이라는 표현이 지금껏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듯, 배타적 한족 표상은 근대로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fact, the Han Chinese(漢族) in all Chinese nationalities is the powerful majority group which is representative of China.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idea or concept of nationality was made in modern age, this study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last period of Qing dynasty(淸朝), because I believe this help us to understand how the Han Chinese represent their national identity by themselves.
    In those days, the revolutionaries had tried to find the way how their nationality could be indentified, contrasting it and Manchu people for the political purpose to overset Qing dynasty, this made it clear that the boundary of the Han Chinese and Manchu people,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Han Chinese was gradually considered as a substantial concept. In particularly, they claimed to stand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mselves with “slave” and “Huangdi(黃帝)”. Because they recognized the Han Chinese has the serious faults pleased to follow the spirit of the times, and lacks spirit of independence, so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slave” was frequently aroused, and “Huangdi” was put forward to distinguish between the origin of the Han Chinese and Manchu people’s on account that he was the progenitor of the Han Chinese. For this, genealogical construction about nationality based on the modern knowledge imported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were presented on the printed media in those days with the color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is simultaneously highlighted the spirit of Great Chinese nation based on the discriminative recognition about barbarian, therefore resulted in strengthening the point of the great power of civilization. The contradiction that consists in these two symbols were caused by the discriminatory practices resulted from the traditional racial segregation, the friendly attitude for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is made the revolutionaries agree two symbols at the same time, and the identity of Han chinese also was dramatically constructed.
    As the Revolution of 1911 had succeeded, this exclusive representation of the Han Chinese in the last period of Qing dynasty was faced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asking to change, but has been basically exerting big influence ever since it was constructed in modern ages, as you can see the concept words such as “The descendants of Yandi(炎帝) and Huangdi” prevail in Chinese society now, they are just emphasizing its line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